콘텐츠목차

이동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641
한자 李東安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철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6년연표보기 - 이동안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3년 - 이동안 광무대 진출
활동 시기/일시 1929년 - 이동안 대동가극단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3년 - 이동안 조선성악회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42년 - 이동안 부산여성농악단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48년 - 이동안 여성국보단체 대표
활동 시기/일시 1957년 - 이동안 부산 여성농악단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75년 - 이동안 국악협회 온양지부장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이동안 한국국악협회 서부지부장
활동 시기/일시 1983년 - 이동안 중요무형문화제 제79호 발탈 예능보유자 지정
몰년 시기/일시 1996년 6월 20일연표보기 - 이동안 사망
성격 예술인
성별

[정의]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 송곡리 출신의 예술인.

[가계]

전문적인 세습 재인(才人) 출신. 부친 이재학(李在學)과 조부 이하실(李夏實)이 경기도 화성 지역에서 가(歌)·무(舞)·악(樂)을 담당하는 화성 재인청의 도대방(都大房)이었다. 모친은 해주 오씨(海州吳氏)이다.

[활동 사항]

이동안(李東安)[1906~1995]은 1906년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 송곡리에서 태어났다. 아들이 광대업을 물려받는 것이 싫었던 아버지 이재학으로 인하여 유년기에는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12세 때 남사당패를 따라 가출하여 전국을 순회공연하며 무동서기·어름서기·무동춤 등의 기술을 익혔다. 1920년 황해 장터에서 공연 중, 아들을 찾으러 온 이재학에게 붙들려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아들의 재능을 인정한 이재학은 독선생을 고용하여 줄타기 기술들을 전수받게 하였다. 1921년 15살의 나이에 이재학에게 세습직이던 재인청 도대방직을 물려받았다. 1922년 일제가 재인청을 폐쇄하면서, 이동안은 화성 재인청의 마지막 도대방이 되었다.

1923년 이동안은 박승필(朴承弼)에게 발탁되어 을지로 5가에 있었던 극장 광무대(光武臺)에 진출하였다. 광무대에서 당대 명인들에게 여러 기술들을 사사(師事)받을 수 있었다. 김관보(金官寶)에게 줄타기, 장점보(張點寶)에게 해금, 방태진(方泰鎭)에게 태평소, 조진영(趙鎭英)에게 남도잡가, 박춘재(朴春在)에게 발탈을 배웠다. 재인청 출신 춤 명인 김인호(金仁鎬)에게는 30여 종의 춤과 예능 종목, 장단을 물려받았다. 1927년 일본에 진출하여 전지역 순회공연을 하였고, 1929년 '대동가극단'을 조직하여 만주와 러시아 국경 지대까지 순회공연을 하였다. 1933년 조몽실·오수암·이동백·김창환·임방울·한성준 등 당대 판소리 명창들이 조직한 '조선성악회'에 막내 회원 자격으로 가입하여 전통춤과 줄타기 등을 공연하였다. 1936년 한성준의 초청으로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전통무용 강사로 활동하였고, 1942년 '부산여성농악단'을 조직하여 안옥선·안숙선과 함께 전국 순회 공연에 나섰다.

1948년 동대문에 국악·음악·무용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대한국악음악무용전문학원'을 운영하면서 임방울·조몽실·전일도·오수암·도금선·박보화 등과 '여성국보단체'를 조직하여 대표를 맡았다. 1957년 부산에서 '여성농악단'을 조직하여 공연하였다. 이후 부산에서 전통 무용을 지도하다가, 1971년 서울로 올라와 문일지가 설립한 '무용아카데미'에서 강의하였고, 1973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창신동에서 학원을 운영하였다. 1975년 국악협회 온양지부장을 역임하였고, 1977년 '전통무용연구회'가 주최한 '이동한의 한량춤 및 발탈 발표회'를 통하여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1982년 한국국악협회 서부지부장을 지냈고, 1983년 3월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이동안 선생의 예술세계』에 따르면, 이동안 본인은 자신의 무형문화재 지정에 대하여, '내가 안하면 끊긴다고 해서 무형문화재로 지정은 받았지만, 나는 춤꾼이지 발탈 재주꾼은 아니다'라고 아쉬움을 보였다고 한다. 1995년 6월 20일 사망하였다. 제자로 김백봉(金白峰)·김덕명(金德明)·문일지(文一枝)·배정애(裵貞愛)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