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속한 법정리.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의 지명유래는 가흥리를 구성하는 가채(佳採)마을과 당흥(堂興)마을의 명칭에서 각각 한 글자를 가져와 가흥리라고 명명되었다. 가채마을은 본래 가치래미로 불리었는데, 마을이 형성되기 전에 해당 지역에 가채암이라는 큰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가채암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 그 이름이 변음되어...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속한 법정리. 함양군 마천면 강청리의 명칭은 각 마을의 앞으로 맑은 강물이 흐른다고 하여 강청리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으로 도촌(島村)마을, 강청(江靑)마을, 백무동(白武洞)마을, 계점, 새터양지...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병합한 교동(敎洞)과 두산(杜山)의 이름을 따서 교산리라 칭하였다. 본래 경상남도 함양군 북천면(北川面)에 포함된 지역이었는데,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으로 내교동(內敎洞), 외교동(外敎...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의 지형이 아홉 마리 용이 승천하는 모양이라 하여 구룡리로 불린다.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에 속한 구만동마을과 대군동제한마을은 가락국의 구형왕이 함양군 마천면 빈대골에서 구만 대군을 거느리고 구만동으로 왔기 때문에 마을 이름을 구만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조동마을의 경우 대추지마을이라고도 불리...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있는 법정리. 구양리의 지명은 등구마을과 양전마을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차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등구마을은 양전동의 북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의 형국이 마치 거북이 기어 올라간 지형이라 붙은 이름이다. 양정개·버틀밭이라고도 하는 양전(楊田)마을은 버드나무가 많아서 지어진 이름이다. 빈대골마을은 빈대궐이라고 부르는데 비어 있는 대궐이 있었...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속한 법정리. 군자리의 군자(君子)마을은 신라시대 진평왕이 왕자가 없어 아들을 원하였는데, 지리산 산신에게 기도하여 왕자를 얻었다고 하여 군자동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군자리 안에 있는 도마(都馬)마을은 도만(桃滿)마을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복숭아꽃이 만발한다는 뜻이다. 바깥마천은 마을의 생긴 형세가 말이 누워 있...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앞에 들이 열려 있어 ‘난들’ 또는 ‘난평’이라 칭하였다. 원래 경상남도 함양군 석복면(席卜面) 지역으로,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 때 신기동(新基洞)과 입패동(笠掛洞)을 병합하여 난평리라 하였는데, 1957년 함양군...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병합한 대병동(大甁洞)과 도덕동(道德洞)의 이름을 따서 대덕이라 칭한다. 본래는 함양군 북천면(北川面)에 속하던 지역이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병동(大甁洞) 죽장동(竹場洞) 도덕...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속한 법정리. 함양군 마천면 덕전리의 명칭은 덕전리에 포함된 실덕(實德)마을과 뇌전(磊田)마을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차용한 것이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으로 내마(內馬)마을, 매암(挴岩)마을, 실덕마을, 뇌전마을 등 4...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행정면. 마천(馬川)이란 명칭은 지도를 들여다보면 계곡물이 말이 달려가는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신라시대에는 천령군에 속하였다가 고려시대에는 마천소(馬川所)가 자리잡았고, 조선시대에는 남면 마천리가 되었다가 마천면으로 칭하게 되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백연리의 명칭은 잣나무가 우거져 있었고 백연서원(柏淵書院)이 있었으므로 백연(柏淵) 또는 백연동(柏淵洞)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본래 함양군 석복면(席卜面)에 포함되어 있던 지역으로,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행정면. 현재의 함양군 백전면 지역은 본래 함양 서북부에 있다고 하여 서면이라 불리던 지역이다. 예전에는 상백·중백·하백으로 나누어 불리다가 1904년 이후에 3개의 백을 병합하여 백전면으로 개칭하였다. 과거에는 상백·중백·하백으로 불리다가 1904년 이후에 3백을 병합하여 함양군 백전면으로 개설되었다. 이후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본래 경상남도 함양군 관변면(官邊面) 관청 변두리 지역으로 백암산 밑이며 위천(渭川)이 있어서 백천(百川)이라 하였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본백, 중간말, 월명, 척지동(尺旨洞)을 병합하여 백천리(白川里)라...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행정면. 함양군의 서북쪽 중앙에 있고 지형이 병의 목처럼 생겼다 하여 병곡면이라 하였다. 이전에는 상병곡면과 하병곡면으로 불리다가 1906년 이후 상병곡면과 하병곡면을 병합하여 함양군 병곡면이라 하였다. 1918년에는 20개 리를 7개로 폐합하였고 1941년에는 7개 리를 10개 마을로 분리하였으며 1949년에는 다시 14개 마을을 7개...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행정구역 개편 때 병합된 삼휴동(三休洞)과 뇌산동(磊山洞)에서 명칭이 유래하여 삼산리라 칭한다. 본래 경상남도 함양군 석복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휴동과 뇌산동을 병합하여 삼산리로 개설하였다. 19...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속한 법정리.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명칭 유래는 삼정리에 속한 양정(陽丁)마을, 음정(陰丁)마을, 하정(下丁)마을이 공통으로 정(丁)자가 들어간 지명을 사용하고 있어 세 마을의 정(丁)자를 따서 삼정리라 부른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행정면. 본래 안의군 지역으로 안의읍 내 서쪽 위에 있어 서상이라 칭하였다. 신라 때에 마리현(馬利縣)에서 이안현(利安縣)으로 개칭되었고, 고려시대에도 이안현이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안의현(安義縣)의 서상면으로 불렸다.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법정면. 신라 때에 마리현(馬利縣)에서 이안현(利安縣)으로 개칭되었고, 고려시대에도 이안현이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안음현(安陰縣)에서 개칭된 안의현(安義縣)의 서하면으로 불렸다.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으로 11개 동으로 이루...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행정면.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은 과거 사근산성(沙斤山城)의 이름을 따서 사근면(沙斤面)이라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이라 명명되었다. 경상남도 함양군의 동부에 있으며 면 소재지는 화산리(花山里)이다. 본래 함양군 지역으로 사근도찰방(沙斤道察訪)의 주재역인 사근역이었다가 갑오경장 때 사근도...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당과 내관의 이름을 따서 신관리라 칭한다. 신관리는 본래 관변면(官邊面)에 포함되어 있던 지역이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당동(新塘洞), 내관동(內官洞), 기동(基洞...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병합한 신기(新基)와 삼천(三泉)의 이름을 따서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신천리라 칭한다. 본래 경상남도 함양군 북천면(北川面)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기동(...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행정면. 함양군 안의면은 신라 때 이안현(利安縣)과 여선현(餘善縣)이었다. 이안현은 신라 때 천령군(天嶺郡)의 영현(領縣)이었으며, 고려 현종 9년(1018)에 합주(陜州)의 속읍이 되었다가, 공양왕 2년(1390)에 감음(感陰)으로 옮겨 소속되었다. 여선현은 신라때 거창군(居昌郡)의 영현이 되었다가, 고려초 감음현(感陰縣)으로 고치고...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함양 시가지 아래에 있어 하리(下里)라고 칭하였으나 1957년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면이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으로 승격하면서 하동이라 하였다. 1988년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로 개칭하였다. 과거 경상남도 함양군 원수면(元水面)에 있었던 지역으로 함양군 함양읍의 아래쪽에 있다고 하여 하동(下洞) 또는 대소리(大召里)라 하였...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는 본래 상리로 불리었다. 본래 원수리라 칭해지던 지명이 함양읍 소재지 위쪽에 있다고 하여 상동(上洞)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동과 중동을 합하여 상리(上里)라 불리게 되었다. 이후 지금은 운림리로 동명을 고쳐 부르고 있다.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함양군 함양읍 웅곡리는 과거 곰이 살았다고 해서 웅곡이라고 불리었으며, 일각에서는 풍수지리상 지형의 형국이 곰의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곰실이라 불렸다고 한다. 본래 함양군의 원수면 지역으로,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행정면.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柳林面)이라는 지명은 유등면(柳等面)과 예림면(藝林面)에서 글자를 한 자씩 따와 조합된 이름이다. 조선시대에 경상도 함양군 예림면이라 하다가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 때 예림면 6개 동, 유등...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속한 법정리. 의탄리라는 지명은 고려시대에 의탄소(義呑所)가 있어서 의탄이라 하였다. 의탄소는 함양군 마천면 소재지에서 흘러오는 하천과 칠선계곡에서 내려오는 1차 지류가 만나는 지점의 소(所)를 의미한다. 의탄리의 중말이라고도 하는 의중(義仲)마을은 의탄리의 가운데에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이며, 평정말이라고 부르는 의평(義坪)마을은 평평...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이은대(吏隱臺) 아래에 있어 이은대 또는 이은동(吏隱洞)이라 칭하였다. 본래 경상남도 함양군 석복면(席卜面)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 때 거면동(巨面洞)과 원수면(元水面)의 하동(下東)...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마을 내 대나무가 많아 대실 또는 죽곡이라 불렀다. 본래 함양군 원수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함양군 함양읍으로 편입되어 죽곡리가 되었다. 함양군 함양읍 죽곡리는 주변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마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고도가 낮아지는 산간지형 마을이다. 남서쪽에서 유입하여 함양군 함양읍...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속한 법정리. 함양군 함양읍 죽림리는 대나무가 많아 죽림동으로 불린 것에서 유래하였다. 죽림리에는 시목동(枾木洞) 내곡동(內谷洞) 수락동(水落洞) 마을이 있는데, 그 명칭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시목(枾木)마을은 삼봉산 기슭에 있는 마을로 양동과 시목 두 개의 마을이 합쳐진 촌락이며 과거에는 감나무골이라 불리었다. 시목마을은...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행정면. 함양군 지곡면의 명칭은 과거 지곡면의 행정구역인 지내면과 덕곡면의 지명에서 한자씩 차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조선 초기에는 북천리(北川里), 지내리(池內里), 덕곡리(德谷里)라 하였고 조선시대 말기에는 지내면, 덕곡면으로 불렸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속한 법정리. 창원리의 명칭은 창원마을로부터 유래되었다. 창촌·창말이라고도 부르는 창원(昌元)마을은 창고가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조선시대 함양군 마천면 내에 세금으로 거둔 차나 약초, 곡식을 보관하는 창고가 있어 창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곳의 창고에 보관된 특산물과 쌀은 오도재를 넘어서 지게로 날랐다고 한다. 원정마을은...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속한 법정리. 추성리의 ‘추성’이라는 명칭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전해온다. 옛날 가락국 마지막 왕인 구형왕이 체류하면서 이곳에다 성을 쌓아 성의 이름을 추성이라 한 것에서 마을 이름을 지었다는 것이 첫 번째 설이다. 두 번째는 추성이라고 하는 길조의 별이 이 지역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다고 하여 추성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1...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법정읍. 본래 함양군 북천면(北川面)과 관변면(官邊面)의 일부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함양군 북천면의 대병·죽장·도덕·내교·외교·두산·학당·신기·후동·삼천 등 10개 동과 관변면의 신당·내관·기동·척지·백천 등 5개 동을 병합하여 위성면(渭成面)으로 개편되었다. 함양군 함양읍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
-
경상남도 함양군에 속한 법정면. 함양군 휴천면의 명칭은 과거 휴천면의 행정구역 영역인 휴지면(休止面)과 엄천면(嚴川面)의 명칭에서 각각 한 글자씩 차용하여 형성되었다. 본래 함양군 남면에 포함되어 있었던 지역으로 뒤에 함양군 휴지면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