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08
한자 -禪院光州支院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204번길 23-1[치평동 201-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다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88년 10월연표보기 - 한마음선원 광주지원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95년 4월 - 한마음선원 광주지원 이전
최초 건립지 한마음선원 광주지원 - 광주직할시 동구 소태동 지도보기
현 소재지 한마음선원 광주지원 -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204번길 23-1[치평동 201-9]지도보기
성격 사찰
전화 062-373-8801
홈페이지 https://hanmaum.org[대한불교조계종 한마음선원]

[정의]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한마음선원 소속 지원.

[건립 경위 및 변천]

한마음선원 광주지원은 광주광역시를 비롯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의 불자들을 위한 생활 속의 참선 수행 도량으로, 1988년 10월 광주직할시 동구 소태동에 개원하였다. 1995년 4월 29일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법당과 요사채를 신축하고, 승려 대행을 증명법사(證明法師)로 하여 이운법회(移運法會)를 개최하였다.

[활동 사항]

한마음선원 광주지원에서는 1993년 4월 24일 대행 큰스님 초청 대법회 '영원한 나를 찾아서'를 광주시민회관에서 개최하여 4000여 명이 동참하였다. 1994년 1월 8일 혼성 합창단을 창단하였으며, 1996년 2월 어린이 합창단을 창단하였다. 1996년 4월 광주문화예술회관에서 소년소녀가장돕기 대행 큰스님 법회와 불교음악회를 개최하여 어린이 합창단의 음성 공양을 올렸다.

1996년 12월 김장김치 나누기 행사로 100양동이를 전달하였다. 그 후, 매년 김장김치 나누기 행사를 하여 김치를 전달하였다. 또한, '1996년 광주불교 합창예술제'에 혼성 합창단이 출연하기도 하였다. 1997년 11월 광주남도예술회관에서 '제1회 소년소녀가장돕기 한마음선원 광주지원 어린이 불교합창제'를 개최하여 행사 모금 540만 원을 기부하였다. 그 이후, 매년 불교합창제를 열어 행사 모금을 기부하고 있다.

2009년을 시작으로 매년 광주광역시 서구 지역 어르신 효도잔치, 2010년부터는 광주광역시 서구에 거주하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선정하여 한마음 쌀나누기를 하고 있다. 2016년 5월부터는 광주보훈병원 호스피스병동에 매주 수요일마다 차 공양을 시작하였다.

1993년도부터 대형 장엄물(莊嚴物)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등을 만드는 데 2월부터 3개월간 200여 명이 참여하여 준비한다. 매년 디자인을 다르게 제작하는데, 법형제회에서 골조를 제작하고 보살신행회에서 배접을 한다. 등을 다 만들면 장엄물 점등식을 하는데, 빛고을관등회 제등 행진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꾸준히 '부처님 오신 날' 빛고을관등회를 위해 어린이 합창단과 연희단 공연, 행렬 등을 만들어 빛고을관등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어린이 합창단은 소년소녀가장돕기 음성 공양, 무안연꽃축제 축하공연, 빛고을관등회 대동한마당 등에 출연하여 활동하고 있다. 혼성 합창단은 광주불교 합창예술제 출연, 심장병어린이돕기 합창제, 소년소녀가장돕기 합창제 등에 출연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2022년 현재 한마음선원 광주지원 지원장은 승려 혜월이 맡고 있다. 승려 혜전, 승려 혜별 외에 신도회 고문 2명, 신도회장 1명, 여신도회장 1명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밖에 불자들의 신행 모임인 법형제회, 보살들의 지역 신행회, 청년·학생·어린이들의 법회가 있다.

[참고문헌]
  • 한마음선원 내부자료
  • 인터뷰(광주불교연합회 사무국장 양행선, 2021. 3. 16.)
  • 인터뷰(한마음선원 광주지원 사무장 정정숙, 2021. 7. 12.)
  • 인터뷰(한마음선원 광주지원 지원장 혜월, 2021. 7. 12.)
  • 대한불교조계종 한마음선원(https://hanmaum.or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