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307
한자 金湖洞-
영어공식명칭 Mangwol Dolmen in Geumho-dong
이칭/별칭 광주 금호동 망월 지석묘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산62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강진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1년 6월 28일~11월 25일 - 금호동 망월 고인돌 지표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5년 7월 10일~8월 7일 - 금호동 망월 고인돌 지표 조사 및 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6년 6월 1일~8월 21일 - 금호동 망월 고인돌 발굴 조사
보수|복원 시기/일시 1998년 8월 1일~8월 5일 - 금호동 망월 고인돌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제7호 어린이공원으로 이전·복원
소재지 금호동 망월 고인돌 -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산62 지도보기
성격 분묘
양식 고인돌
크기(높이,지름) 덮개돌: 210㎝[길이]|205㎝[너비]|110㎝[두께]

[정의]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에 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개설]

금호동 망월 고인돌은 1995년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실시한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 택지 개발 사업과 관련한 정밀 지표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이후 1996년 전남대학교박물관에 의해 고인돌 1기가 조사되었다. 1998년 금호동 망월 고인돌은 유적 내 풍암돌 고인돌과 함께 풍암동 제7호 어린이공원으로 이전·복원되었다.

[위치]

금호동 망월 고인돌이 있던 곳은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산62번지였는데,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제7호 어린이공원으로 이전·복원되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1년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 택지 개발 사업과 관련하여 지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발굴 조사 결과 금호동 망월 고인돌 1기가 확인되었다.

[형태]

금호동 망월 고인돌의 덮개돌 무게는 6t으로 크지 않으며, 평면 형태는 오각형에 가까운 부정형이다. 굄돌은 없었고 하부에는 적석(積石)이 한 겹 정도 깔려 있는데 일부만 남아 있다. 가장자리에 판석(板石)을 비스듬히 세워 구획을 한 후 내부를 돌로 채웠다. 무덤방은 확인되지 않았다.

[출토 유물]

고인돌 하부의 적석 사이에서 작은 청동 조각, 민무늬토기 조각, 붉은간토기 조각 등이 소량 출토되었다.

[현황]

금호동 망월 고인돌이 있던 곳은 풍암 택지 개발 공사와 관련한 발굴 조사가 마무리된 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다.

[의의와 평가]

금호동 망월 고인돌은 발굴 조사 결과 무덤방이 확인되지 않아 매장을 위한 가묘 또는 의례와 관련된 고인돌일 가능성이 있다. 고인돌 주변에서 역사시대와 관련한 유적이 조사되어 광주광역시 일대와 영산강 유역의 선사 문화를 파악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