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51
한자 道山驛
영어공식명칭 Dosan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125-99[도산동 1023-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8년 4월 11일연표보기 - 도산역 개통
최초 설립지 도산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지하 125-99[도산동 1023-3]
현 소재지 도산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지하 125-99[도산동 1023-3]지도보기
성격 도시철도역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에 있는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

[개설]

광산구 상무대로에 자리한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으로, 역이 있는 도산동의 이름을 따서 역명을 지었다. 도산동의 '도산'은 산암리(山岩里) 748~749번지에 둥근 야산이 있어 ‘도루메’라고 하다가 한자로 표기하면서 도산(道山)으로 지칭하였다고 한다.

[변천]

도산동은 조선 후기 광주목 고내상면에 속했으며 도상·도하·산정·도신·수성촌이 있었다. 고내상면 도신·산암·수성리와 동각면 수성리의 각 일부가 합쳐져 신설된 송정면 관할 도산리가 되었다.

[구성]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합실을 통하여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역인 평동역과의 사이는 지상 구간이다. 지상역인 평동역에서 열차가 지하로 내려가면서 도산역까지 오기 때문에 깊이를 얕게 건설한 역이다. 덕분에 이용객들이 역 바깥으로 나오거나 시내버스와 환승하는 것이 다른 역에 비해 편하다. 깊게 내려가지 않아도 되고, 출구에서 버스 정류장과의 거리가 짧은 편이다.

내부 편의시설로는 화장실 4곳, 자판기 1대, 위생용품 자판기 1대, 무료신문 배포대 3개가 구비되어 있다. 스마트폰 충전기는 녹동역을 제외한 전 역사에 설치되어 있다.

[현황]

도산역은 2008년 34만 6563명에서 이용객 수가 계속 증가하는 역이다. 이는 주변지역 시가화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47만 1769명이 이용하였다. 농촌지역에서 주거단지로 개발되면서 인구가 급증한 지역으로, 향후 서남 방향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도산역 지상에 광장을 조성하여 지역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도록 하였으며, 숯갈비, 회 등 먹거리 또한 풍성한 지역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