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의 지각을 이루는 물질. 한강 하류 지역의 지질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 연천계(漣川係)의 편암류(片岩類)와 준편마암류(准片麻岩類)에다 중생대(中生代) 말기의 불국사통(佛國寺統)에 속하는 화강암(花崗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층의 분포를 한강을 중심으로 하여 구분하면 한강 이남 지역과 이북 지역으로 양분되는데, 한강 이남 지역은 다시 동남부와 구로 지역이 속한 서남...
-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의 지표면의 기복 및 형태. 지형은 지각 운동에 의한 융기·침강과 같은 내적 영력, 침식·퇴적과 같은 외적 영력에 의해 형성된 지표면의 형태 또는 지표면의 기복을 말하는 것으로 강·평야·산지 등이 있다. 지형은 기후·토양·식생 등과 함께 지역의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간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평야 지역에서는 농업·공업·도로·취락이 발달하고,...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지표면에 퇴적되어 있는 물질. 토양은 지구의 가장 바깥인 표층 부근 생물체 활동과 대기 중의 공기 및 지표 수분 등의 작용을 강하게 받는다. 토양은 암석층이 풍화되어 생성된 유기물의 부식층이 있어 식물 성장과 농작물 경작이 가능한 부분이다. 구로 지역의 토양은 논으로 이용되기 쉬운 내륙평탄지 토양, 임야지로 이용되기 쉬운 낮은 구릉지 및 산록지 토양, 대부분...
산
-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구로구의 산줄기는 한강 남쪽에 있는 관악산[629m]과 연결되어 있으며, 서부는 김포준평원(金浦準平原)이 펼쳐져서 대체로 50m에서 150m 안팎의 낮고 경사가 급하지 않은 구릉성 산지가 주로 분포해 있다. 구로구의 대표적인 산으로는 굴봉산[145.6m], 개웅산[125m], 매봉산[74m], 건지산[134m], 염...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2동에 있는 나지막한 산. 갈탄봉이라는 명칭은 산 앞의 가린열마을에서 유래되었다. 가린열은 구로구 고척동과 경계가 되는 개봉동의 중앙에 위치한 곳으로 갈대와 여울이 많은 곳이라 하여 가린여울 또는 가린열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후에 칡 넝쿨과 같이 여러 갈래의 개천 즉 개봉천·오류천·개웅천이 안양천과 합수되어 여울이 많으므로 갈탄(葛灘)이라 하였다고 한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개봉3동·천왕동에 걸쳐 있는 산. 개웅산이라는 명칭은 인접한 마을의 지형이 움푹 들어간 관계로 난리가 날 때마다 총탄이 개웃개웃 피해 가서 개웅마을이라 불렀고, 산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개웅산은 조선시대에 이 산에서 봉화를 올렸다 하여 봉화대(烽火臺)라고도 부른다. 봉화란 밤에 불을 피워서 신호를 삼는 통신 수단을 말하는데 3·1운동 당시에도...
-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항동과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옥길동에 걸쳐 있는 산. 건지산은 아주 먼 옛날 천지가 개벽할 때 홍수로 떠내려가던 산을 건져내어 건진 산이라 한 데서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 건지산은 구로구 천왕동의 서쪽 경계를 이루며 남북 방향으로 길게 뻗은 굴봉산[145m]과 남서쪽으로 이어진다. 건지산의 남서쪽으로 구로구 항동 가운데를 지나는 개울을 건너 경기도 부천시와...
-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항동·오류2동에 걸쳐 있는 산. 굴봉산은 굴이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145.6m·143m·105m의 세 봉우리가 나란히 솟아 있으면서 그 능선으로 동 간의 경계를 이루고 있어 삼각산이라고도 부른다. 구로구 천왕동과 항동 사이에 세 봉우리로 형성된 삼각산은 서울의 진산인 삼각산 곧 북한산과도 이름이 같다.북한산의 남서쪽 자락에는 인왕산이 있는데, 여기서 북한...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에 있는 산. 산에 도당이 있었기 때문에 도당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도당산은 나지막한 구릉으로, 벽산과 두리봉에 인접하고 있다. 높이는 95.5m이다. 도당산은 구로구 온수동 산121번지와 산41번지 일대 현 온수연립 주택 단지가 있는 가압장 부근의 산으로, 인근에는 주민들을 위한 온수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도당산의 남서쪽으로는 구로구 온수동의 온수산업단지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과 양천구 신월동 경계에 있는 산. 두루미산은 6·25전쟁 당시 수도권 지역이 북한군에 점령당했을 때 맥아더 장군의 인천 상륙 작전 성공으로 인천과 부천을 탈환한 UN군이 파죽지세로 진격해 올 때 인천과 수도 서울을 잇는 중요한 병참 보급로였으며 기계화 부대의 유일한 통로 구실을 담당하였다. 두루미산을 점령하면 서울로 가는데 아무런 장애물이 없고 시야가 한눈...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1동과 양천구 신정3동에 걸쳐 있는 산. 매봉산은 구로구에 위치한 대표적인 산으로, 청룡산으로도 불린다. 구로구 개봉1동, 오류1동, 수궁동을 지나 부천시 작동, 양천구 신정동까지 이어져 있다. 매봉산은 개웅산과 함께 개봉동 동명의 유래가 된 산으로, 개웅산의 ‘개’자와 매봉산의 ‘봉’자가 합쳐져 지금의 개봉동이 된 것이다. 매봉산은 지양산 동쪽 능선에 있는...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에 있는 산. 벽산은 일반적으로 풀과 나무가 무성한 푸른 산을 말한다. 구로구의 벽산이 풀과 나무가 무성하여 벽산이라 불리게 되었는지에 대한 유래는 찾을 수 없으나, 산이 낮고 원만한 원형의 형태를 띠고 있어 동그란산이라 불리기도 하고, 마치 시루를 엎어놓은 것과 같이 생겼다 하여 시루봉이라고도 불린다. 또 온수역이 인근에 있어 철길 옆에 위치한 산이라는 뜻...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2동과 천왕동에 걸쳐 있는 산. 염주봉[연지봉]은 경인로 남쪽으로 구로구 항동과 천왕동의 경계를 이루는 천왕동 동북쪽 귀퉁이에 솟아 있다. 이 지역은 1413년(태종 13) 경기도 부평도호부에 속하였고,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당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인천부 부평군 수탄면(水呑面) 천왕리에 속하였다. 염주봉은 고개를 뜻하는 ‘재’에 ‘비’를 덧붙여...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양천구 신정3동과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작동에 걸쳐 있는 산. 와룡산과 그 좌우로 뻗어 있는 산등성이가 마치 용이 웅크리고 누워 있는 형국이라 하여 와룡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지양산 또는 신월산이라고도 한다. 서울특별시 구로구와 양천구 및 경기도 부천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해발 고도 80~120m 가량의 봉우리들은 한남정맥의 한 줄기인 경기도 수원의 광교...
고개
-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맥이 가로놓여 두 지역 간의 소통이 어려울 때 두 지역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교통로 구실을 한다. 현재 서울특별시 구로구에는 16개의 고개가 있으나 도로 건설과 시가지 확장으로 산지가 개간되어 고개의 기능은 거의 사라진 상태이다. 구로구에서는 오래전부터 16개의 고개가 교통로로 이용되었으나 오늘날 도로...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2동 능골에서 개봉1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단혈고개는 고개의 흙이 다른 곳에 비해 더 붉은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단혈현(丹血峴)이라고도 한다. 단혈고개는 과거에 보여 주었던 고개로서의 자연 환경이라기보다는 공원과 산책로 조성 등으로 인문 환경의 모습을 많이 보이고 있다. 구로구 고척동의 옛 자연마을인 능골에서 고척2동의 육본단지를 통하여 개봉...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에 있던 고개. 덕고개는 해발 고도 100m 이하의 동산을 넘어가던 고개였으나, 오늘날 도로 개설로 인하여 고개의 의미는 사라져버렸다. 덕고개는 과거 개봉·고척 지역에서 오류동과 인천으로 가던 유일한 고개였으나 경인로 확장과 남부순환도로 개설로 인하여 두 도로가 교차하는 오류인터체인지로 변하였다. 옛날 정월 대보름에는 덕고개에서 불놀이를 하였다고 한다. 덕고...
-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 뒷매봉 서쪽에서 항동으로 넘어오는 고개. 독[항아리]을 굽던 가마가 있었기 때문에 독쟁이고개라고 하였다. 독쟁이고개는 구로구 항동 북쪽에 있는 뒷매봉[50m]에 위치한 고개로, 항동과 오류동을 연결하고 있다.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괴안동 유한공업고등학교에서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으로 넘어가는 경인로에 속한 고개이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에서 궁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삭새로 넘어가는 고개라 하여 삭새고개라 불렀다. 또한, 도당이 있었기 때문에 도당재라고도 하였고, 고개 모양이 길마처럼 갑자기 꼬부라졌다 하여 길마산고개라고 불렸다고도 한다. 삭새고개 주변은 그린벨트 지역으로 묶여 있어 대체로 녹지가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며, 부천시의 얼마 되지 않는 녹지 지역이 삭새고개의 남쪽 온수역 방향을...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5동에 있던 고개. 구로(九老)라는 지명은 옛날 나이 많은 노인 아홉 명이 장수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아홉 노인 중 한 명이 심었다는 상나무[향나무로 추정]로 말미암아 상나무재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수령 500년 이상이었던 이 상나무는 마을을 수호하는 신목(神木)으로 서낭의 역할을 하였으며, 이곳에서 기우제나 마을의 평안과 번영을 비는 제사도 지냈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항동에서 천왕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구로구 항동에서 삼각산과 건지산 사이의 봉우리를 넘어 천왕동으로 가는 고개로 예전에 이 고개에 서낭당이 있어서 서낭고개 또는 서낭당고개라고 불렀다. 삼각산은 남북 방향으로 높이 100m 정도의 봉우리 세 개가 나란히 서 있으며, 그 남쪽에는 건지산이 동서 방향으로 산등성이를 형성하고 있다. 서낭당 옆에는 신목인 전나무가 있었으나...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1동과 구로디지털단지로 갈라지는 곳에 있던 고개. 석바탱이마을 뒤에 있는 고개였으므로 석바탱이고개라 하였다. 석바탱이마을은 매 사냥을 할 때 석 받는 곳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석바탱이마을은 대촌(大村)[일명 큰논배미]의 일부로서 대촌의 서쪽 귀퉁이에 자리하였다. 대촌은 현재 구로구 가리봉1동 13번지에 해당되는 마을로 가리봉동 중에서도 제일 크고 오래...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 성짓골에서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여월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구로구 궁동의 옛 마을인 성짓골[정선옹주 묘역 인근]에서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여월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수렁고개 혹은 수룬고개·우렁고개·댓골고개라고 한다. 수렁고개는 수룬고개라 불리는데 이는 고개와 인접한 구로구 궁동의 수룬마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수렁고개는 한남정맥의...
-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의 천왕고개를 넘어 천왕골[천왕마을]로 들어서기 전 등성이에 있는 고개. 구로구 천왕동에 있는 천왕동 고갯길 사거리에서 지방도 297호선을 따라 350m를 가면 우측에 천왕골로 들어가는 작은 도로가 나온다. 이 길로 약 150m 정도 올라가 우측에 있는 고갯길을 숫돌고개라고 한다. 예전에 이 고개 일대에서 숫돌을 많이 캐냈기 때문에 숫돌고개라 불렀다. 숫돌고...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3동[현 금천구 가산동]에 있던 고개. 조마고개는 구로구 가리봉동의 옛 지명 중 하나인 모아래마을[현 구로구 가리봉1동] 뒤쪽 고개로, 1995년 3월 1일 구로구가 금천구로 분구되기 전 구로구 가리봉3동 지역[현 금천구 가산동]에 위치해 있었다. 조마고개가 위치한 가산동 18통과 19통 지역은 택하(澤下), 못아래, 모아래 등으로 불리었다. 『여지도서(輿地...
-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에 있는 고개. 천왕고개는 고개와 인접한 천왕동에서 유래한 것이다. 천왕동이란 명칭은 동네 뒷산이 굴봉산이고 굴봉산 골짜기에 있던 천왕사(天旺寺)라는 절에서 유래한 것이다. 천왕고개는 굴봉산에서 염주봉[연지봉]으로 이어지는 곳이다. 천왕고개를 넘어서면 천왕길이 시작되는데, 동쪽 방향에는 개웅산의 한 봉우리인 염주봉이 있다. 천왕길의 사거리에서 서쪽으로 들어가...
-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 가운뎃말에서 항동 항골로 넘어가던 고개. 항골고개는 고개와 인접한 구로구 항동의 옛 지명인 항골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항골이라는 지명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지세가 배 모양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 이 일대가 바다처럼 물이 많아 배가 마을에 닿았던 곳이라는 데서 연유되었다고도 한다. 항동고개라고도 하였고, 항골고개가 있는 골짜기는...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에서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구로구 온수동의 옛 자연마을인 온수골의 중심부는 온수동 76번지~93번지 일대로 북쪽 경계에는 세 봉우리가 나란히 있는데, 세 봉우리 가운데 낮은 쪽을 화개고개라고 한다. 예전에는 화개고개에 서낭당이 있었다고 전한다. 고개를 넘어 도달하는 마을이 부천시 화개마을인 까닭에 화개고개라고 불리게 되었다. 화개고...
하천
-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에서 지표수가 모여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곳. 하천(河川)에서 하(河)는 큰 강, 천(川)은 작은 강을 뜻한다. 한국에서는 큰 강을 강(江), 작은 강을 천(川) 또는 수(水)로 나타내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에서는 한강(漢江)으로 청계천(淸溪川)·중랑천(中浪川)·안양천(安養川) 등의 지류가 흘러들고 있어서 대체로 본래의 뜻이 지켜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에서 여러 개천이 합수되던 지역. 『한국지명총람』에 따르면 갈대가 많고 여울이 많은 곳이라 하여 가린여울 또는 가린열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 뒤 칡과 같이 여러 갈래의 개천 즉 개봉천·오류천·개웅천이 안양천과 합수되어 여울이 많아 갈탄(葛灘)이라고 하였다 한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양화도에서 기탄교까지 8리, 오리곡까지 7리, 성현까지 30리로...
-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에서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으로 흐르는 하천. 너부대내에 대한 정확한 지명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옛 구로구 천왕동 일대의 지명을 보면, 이 너부대내를 기준으로 하여 구로구에 속한 마을을 천왕골, 광명시에 속한 마을을 너부대마을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너부대내 인근에는 천왕고개가 있으며, 구로구 천왕동과 경기도 광명시를 경계 짓는 하천이다. 과거 구로구 천왕동...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산에서 발원하여 관악구·동작구·영등포구·구로구를 거쳐 신정교 근처에서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도림천은 예로부터 근처에 풀이 많아 조선시대에 국가에서 말을 기르던 양마장(養馬場)이 있었던 데서 마장천(馬場川)이라고도 불렸다. 때문에 도림천 근처에서 소와 말을 길렀던 신도림동 역시 원지목리라는 지명을 얻게 되었다.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시흥군 원지목리라는 자연...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에서 발원하여 서울특별시 구로구와 경기도 광명시 사이를 지나 안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에 있는 630고지 서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흐르기 때문에 동의 명칭을 따서 목감천이라 부르게 되었다. 또한 발원지 부근에 조선시대 때 목암사(牧岩寺)라는 사찰이 있었던 것에 기인하는데, 사찰 경내에는 감나무의 개량 품종인 단감나무가 유명하였다고 한다. 그래...
-
삼성산에서 발원하여 서울특별시 구로구를 지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안양천은 한강의 제1지류이다. 안양천의 발원지인 삼성산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경기도 안양시에 걸쳐 있다. 여기서 흘러나온 삼성천과 백운산에서 흘러나온 학의천(鶴儀川) 및 경기도 군포시를 흐르는 산본천(山本川) 등의 지류가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에서 합류하여 북쪽으로 흐른다. 안양시와 서울시의 경계에서부터 한강 합류...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 와룡산에서 발원하여 오류동과 개봉동을 지나 목감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오류천은 구로구 궁동을 둘러싸고 있는 와룡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모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동부제강 앞쪽에서 경인선 전철과 나란히 남동쪽으로 흘러 오류역과 개봉역을 지나 개봉빗물펌프장 근처에서 목감천에 합류한다. 이후 목감천은 안양천에 합류하고, 안양천은 한강으로 흘러들어 간다. 물줄기 상류인...
평야
-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에 있는 산지와 산지 사이에 발달한 넓고 평탄한 지형. 평야는 기복이 작고 넓은 지역으로 형성 원인에 따라서 퇴적 평야와 침식 평야로 나뉜다. 퇴적 평야는 하천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되며, 침식 평야는 오랜 기간에 걸친 침식으로 형성된 지형이다. 평야 지역은 주로 벼농사와 밭농사 등 농경지로 활용되어 왔으며 교통수단과 취락이 발달하였다. 구로구 동부는 안양천과 도...
-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부와 경기도 김포시·인천광역시에 걸쳐 있는 준평원. 김포준평원은 김포시·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걸쳐 형성된 지형으로, 하천의 오랜 침식 작용에 의해 육지의 높이가 거의 해수면과 같게 낮아지고 경사가 없어져 더 이상의 침식이 일어나지 않게 된 지역이다. 한강 하류의 김포 일대에 형성된 평원이라 하여 김포준평원이라 하였다. 김포준평원은 한강 하류 남서부를...
기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에 있던 골짜기. 성지골은 구로구 궁동 어귀에서 북쪽으로 곧게 뻗어 양천구 신정3동으로 통하는 길인 궁동길과 절터 북서쪽의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여월동으로 넘어가는 길인 수렁고개길이 갈라지는 골짜기이다. 성짓골·성지꿀이라고도 하였다. 성지골의 가장 안쪽 수렁고개로 올라가는 경작지 일대에는 현민(玄民) 유진오(兪鎭午)가 작품 구상을 위하여 기거하던 별장 터가 남...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2동과 양천구 신정3동 사이의 계남근린공원에 있는 커다란 바위 무더기. 바위 무더기 사이로 바람이 지나가면 울음소리가 나는 것처럼 들려 ‘우렁바위’, 또는 ‘명암(鳴巖)’이라 하였다. 또는 길마[짐을 싣거나 수레를 끌기 위하여 소나 말 따위의 등에 얹는 안장]처럼 생겼다 하여 ‘길마바위’라고도 하였고, 바위가 감투를 닮았다 하여 ‘감투바위’ 또는 ‘사모바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