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901365 |
---|---|
한자 | 時祭 |
영어음역 | Sije |
영어의미역 | Ancestor Worship Ceremony |
이칭/별칭 | 시사,묘사,사시제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
집필자 | 문애리 |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춘하추동의 길일이나 절일에 받드는 제사.
[개설]
시제(時祭)는 사시제(四時祭)·시사(時祀)·시향(時享)·절사(節祀)·묘제(墓祭)라고도 하는데, 크게 사시제와 묘제로 나눌 수 있다. 사시제(四時祭)는 1년에 네 번, 즉 봄·여름·가을·겨울마다 고조 이하의 조상을 제사하였다. 이는 정제(正祭)이면서 제사 의식도 가장 완비되어 중요하게 생각한 제사였다.
고대에는 제사라면 곧 이를 일컬을 정도로 제사의 으뜸이었으나, 조선시대 이후 기제가 중시되면서 점차 퇴색되어 갔다. 또한 일 년에 행하는 제사의 횟수가 많아지면서 현재는 보통 1년에 한 번만 행하고 있다. 묘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제사로서 대(代) 수가 다 된 5대조 이상의 조상을 해마다 한번 그 묘소에서 받들며, 관습상 이 제사를 시향·시사·시제라고 일컫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에서 사시제는 1390년(공양왕 2)에 ‘사대부가제의(士大夫家祭儀)’를 제정하여 사시제의 절차와 내용을 정하였다. 조선시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의하면 ‘대부·사·서인 사중월시향의(大夫士庶人四仲月時享儀)’라 하여 2품 이상은 상순에, 6품 이상은 중순에, 7품 이하는 하순에 길일을 점쳐서 받들도록 하였다.
[절차]
고령군 우곡면 봉산리에서는 시제를 음력 10월에 지낸다. 그 날짜는 문중마다 다르며, 각 파나 문중마다 정해진 날짜에 제를 지낸다. 고령군 쌍림면 평지리에서는 음력 10월 상달에 오곡 농사를 다 지어서 새 곡식으로 조상에게 시사(時祀)를 지낸다. 시제는 산에 가서 묘소 앞에서 지내는 것이지만, 비가 와서 산에 갈 수 없을 때는 문중의 재실에서 지낸다. 외지에서 오는 사람들에 따라서 지내는 시간이 다르고, 문중에 따라 지내는 날짜가 다르다. 문중 윗대 조상의 시제는 대개 10월 초하룻날 많이 지내고, 중시조부터 차례로 내려가면서 20일까지도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