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284
한자 鳳峴里
영어음역 Bonghyeon-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박윤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리
면적 5.44㎢
총인구(남, 여) 123명(남 62명, 여 61명)[2024년 9월 30일 기준]
가구수 72가구[2024년 9월 30일 기준]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봉명동(鳳鳴洞)과 산현리(山峴里)·수현리(水峴里)에서 ‘봉(鳳)’자와 ‘현(峴)’자를 따 ‘봉현(鳳峴)’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공주군 성두면(城頭面)에 속한 지역으로, 1914년 성두면 봉명동·산현리·수현리가 통합되어 봉현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공주군이 공주시와 통합되면서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봉현리의 서부와 북부·동부 및 중부로는 해발 고도 200여m의 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남부로는 어천(魚川)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흐르고, 주변에는 해발 고도 100여m에 충적 평야가 있다. 이외에도 동부 경계에는 안양천(安陽川)이 남북 방향으로 흐르며, 해발 고도 100여m에 소규모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다.

[현황]

봉현리우성면의 서부에 자리하고 있다. 면적은 5.44㎢이며, 2024년 9월 30일 기준 총 72가구, 123명[남 62명, 여 61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총 경지 면적은 106.35㏊로 면 전체 면적의 5.42%를 차지하고 있다. 어천과 안양천 연변의 평야는 벼농사 지대이며, 산기슭은 밭농사 지대이다.

하천 연변의 평야 지대에는 독안동·사룡동·당골·묘재·승지동 등의 자연 마을이 들어서 있다. 농촌 관광 마을로 ‘예울림마을 물레방아’가 있으며, 이곳에서는 야생화 관찰, 곤충 채집, 달걀 꾸러미 만들기 등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충청남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공주봉현리상여소리봉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상여 소리로, 마을 자체에서 보존회를 꾸려 운영하고 있다. 지방도 96번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북서쪽으로는 신풍면 입동리에, 남동쪽으로는 안양리에 연결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