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추포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542
한자 秋圃集
영어의미역 Posthumous Works of Chupo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원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집
관련인물 박구식(朴九植)
저자 양기덕(梁基德)[1920~1999]
편자 양의호(梁義鎬)|양승호(梁承鎬)
간행자 양의호
저술연도/일시 1999년연표보기
편찬연도/일시 2000년
간행연도/일시 2000년연표보기
권수 3권
책수 1책
사용활자 컴퓨터 조판
가로 21㎝
세로 29㎝
표제 秋圃集
간행처 미상
소장처 충남대학교 도서관

[정의]

2000년에 간행된 공주 출신의 문인 양기덕의 문집.

[편찬/발간경위]

양기덕(梁基德)[1920~1999]의 사후에 아들 양의호(梁義鎬)와 양승호(梁承鎬) 및 저자의 친우 박구식(朴九植) 등이 초고를 수습하여 정동휘(鄭東暉)의 교정과 서문(序文)을 받아 2000년에 간행하였다.

[형태]

상·중·하 3권 1책으로 되어 있고, 컴퓨터 조판에 횡서로 편집하였으며, 한장본의 형태로 제본하였다. 권수제 및 판심제 모두 ‘추포집(秋圃集)’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21㎝, 세로 29㎝이다. 원문과 번역문을 나란히 실었다.

[구성]

책머리에 정동휘의 서(序)가 있고 총 목차가 이어졌다. 상·중·하 3권 1책이며, 권하는 부록인데 행장과 발문이 실려 있다. 권상은 부 1편, 사(辭) 5편, 시 6수, 축문 2편, 잡저 16편이며, 권중은 서 5편, 기(記) 3편, 상량문 1편, 비지(碑誌) 9편이고, 권하는 행장 1편, 추포문록발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양기덕의 글 잡저 중에 「소학입문(小學入門)」은 모두 7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전통 윤리를 중시하는 저자의 사상이 담겨 있다. 또한 「갑오동학란에 대한 세론(世論)」에서는 유림(儒林)의 입장에서 갑오 동학혁명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학당은 반란행위로 수천만 국민을 안중에도 없이 방약무인으로 그들만이 애국자인 양으로 누구의 국가이기에 감히 국가를 개혁한다는 오만방자한 망동을 감행하여 우리 민족 전체를 능멸하고 무지몽매한 평민을 선동하여 무구(無咎)한 양민을 살상케 하고 평지풍파를 일으켜 결국은 국가를 멸망토록 하였다.”

「유림의병정란사적비문(儒林義兵靖亂事績碑文)」에서는 공주 지역에서의 동학군(東學軍)과 유림의병(儒林義兵) 및 관군의 대치와 격전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때는 고종조 갑오년 10월 사건이다. 동학당은 성군작당(成群作黨)하여 전라도 지방 관아를 습격 강점하고 그 여세로 충청도를 침범하여 공주감영을 침공하고자 이인 취병산(翠屛山)에 집결하여 이인찰방을 유린하고 인근 민가에 약탈 방화 등 악행을 자행하여 민심과 괴리되었다.

유림 대표 양재목(梁在穆)은 …… 분연히 창의(倡義)하여 공주·부여·석성 등지의 의중(義衆)을 초모하여 약 400여 명이 운집하였고 탄천 박씨 문중의 비호 하에 탄천 송학리에 둔거하여 대비하였고 관군은 이인 초봉리 후록과 주봉리 산협에 둔진 대치하였다.

반군은 공주로 진군하기 위하여 야음에 하산하고 정오(整伍) 준비 중임을 탐지하고 유림의병이 기습선제공격을 감행하여 이인 구암리(검바위) 지점으로 축출하였고 관군이 일제히 출격하여 반군의 진로를 차단하고 의병과 전후 협공하여 일패도지하고 용성리 산협을 통하여 계룡면 방면으로 패주하였다. 반군은 계룡면 경천의 일부 군과 합세하여 공주로 진군중 효포리에서 격전하여 여기에서 괴멸되었다 한다.”

이 글에서 유림 의병장으로 거론된 양재목(梁在穆)[1831~1911]은 공주 이인(利仁)에 낙향하여 살던 진사 양덕정(梁德貞)의 현손(玄孫)이며, 저자의 조부(祖父)가 된다. 1906년 고종황제를 폐위시키고 우리 군대를 해산시킨 왜적에 맞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으나 용담(龍潭) 전투에서 패한 뒤 1911년 81세로 생애를 마친 인물이다.

[의의와 평가]

『추포집』에 실린 시는 극히 소량이어서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우나, 잡저에 들어 있는 동학군에 대한 기록은 갑오년 당시의 공주 지역 유림의 동향을 알아 볼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기에 어느 정도 사료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