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466
한자 甲寺銅鐘
영어의미역 Bronze Bell of Gapsa Temple
이칭/별칭 갑사 범종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엄기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8년 12월 19일연표보기 - 갑사 동종 보물 제47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갑사 동종 보물 재지정
성격 동종
제작시기/일시 1584년연표보기
제작지역 갑사
재질 청동
높이 132㎝
너비 91㎝
소장처 갑사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 지도보기
소유자 갑사
관리자 갑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동종.

[형태]

갑사 동종은 크게 용뉴부(龍鈕部)와 종신부(鐘身部)로 구성되어 신라시대 이래 제작된 우리나라 범종의 전형적인 양식을 취하고 있다. 용뉴부에는 두 마리의 용이 좌우로 용두를 힘차게 뻗치고 있으며, 입은 크게 벌리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범종만의 특징인 용통(龍筒)은 마련되지 않았다. 어깨 부분에는 입상형(立狀形) 화문(花紋)을 돌려 장식하였으며, 그 아래에는 일정한 너비를 구획한 후 돌기된 융기선을 활용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는 고사리 형태의 화문을 배치, 장식성을 높였다.

상대는 아래위의 굵은 가로 돌기선을 활용하여 일정한 너비로 구획한 후 범자문(梵字文)을 새겼다. 범자문은 총 31자가 양각되어 있다. 상대 아래의 종신 위에는 사각형의 유곽(乳廓)이 마련되었는데, 총 네 개가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었다. 유곽의 외곽은 2조의 돌기선을 활용하여 일정한 너비로 구획하였으며, 그 안에 당초문을 장식하였다. 유곽 안에는 총 아홉 개의 유두(乳頭)를 배치하였는데, 각각의 유두 아래에는 평면으로 연화문을 장식하였다. 유곽 사이의 종복(鐘腹)에는 1구씩의 입상형(立像形) 보살상과 명문을 양각하였다.

당좌(撞座)는 원형으로, 외곽에 2조의 돌기선(突起線)을 활용하여 물결 형태의 문양을 가득 배치하고, 그 안쪽에 다시 2조의 돌기선을 활용하여 원형으로 구획한 후 5엽의 연화문을 배치하였다. 또한 당좌 아래쪽에는 구름문을 표현하여 신성한 기운을 느끼도록 했다. 종신 아래쪽에는 상하에 굵은 돌기선을 가로로 돌려 하대(下帶)를 마련하였는데, 그 안에는 초화문(草花紋) 형태의 줄기가 반복되면서 아래위를 구분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 연봉형의 연화문과 보상화문을 장식하였다.

[특징]

갑사 동종은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고 아래쪽 지름이 넓게 주조되어 우리나라 동종의 전형적인 외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천판 위에 용뉴를 두고 용통을 마련하지 않은 점, 상대 위로 입상형 화문을 배치한 점, 유곽 사이에 보살상을 배치한 점, 하대를 종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한 점 등은 고려 말기 이후 조성된 범종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갑사 동종은 중국과 일본 동종과는 차별화된 우리나라 동종만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어 신라시대 이래 조성된 전형적인 동종 양식이 조선시대까지 꾸준하게 계승되고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구체적인 조성 배경과 시기를 알 수 있어 조선 전기 범종 연구의 중요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7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