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447
한자 歷史
영어의미역 History
분야 역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집필자 윤용혁

[정의]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충청남도 공주시의 역사.

[개설]

공주는 금강의 중류에 위치한 역사 도시이다. 선사 이래 근대에 이르기까지 중부 지역 거점으로서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중부 지역 대표 도시의 하나이다. 남한에서 최초로 조사된 석장리 구석기 유적의 예에서 보는 것처럼 이미 50만 년 전 인류가 거주하던 공간이며 신석기와 청동기시대를 거치며 도시 형성이 이루어진다.

[고대]

공주가 우리나라 역사에 크게 부각되는 것은 475년 백제의 수도가 한성으로부터 공주로 옮겨지면서이다. 이때 지명은 웅진(熊津)이고, 국외의 사서에는 ‘고마성’·‘구마나리’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538년 도읍이 부여로 옮겨가기까지 64년간 5명의 왕이 즉위하였고, 그 가운데 특히 백제를 안정시킨 제25대 무령왕의 왕릉이 1971년 풍부한 유물과 함께 발견됨으로써 공주가 백제의 왕도였다는 사실을 각인시켰다.

백제 멸망 이후 충청 지역의 거점 도시로 발전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686년(신문왕 6) 웅천주(熊川州)로 개편되어 30여 개 군현, 대략 오늘의 충청남도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 정치 도시였으며, 757년(경덕왕 16) 웅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고려시대·조선시대]

공주(公州)라는 이름은 940년(태조 23)부터 쓰였으며, 공주의 ‘공’은 웅진, 웅천의 곰에서 비롯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983년(성종 2) 전국 12목의 하나가 되었으며, 주변 지역 4개의 속군과 8개의 속현을 관할함으로써 지역 거점 도시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1603년(선조 36) 충청감영이 충주로부터 공주로 이전되어 이후 3백여 년간 감영 혹은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감영의 공주 이전에 따라 조선 후기에는 충청도의 명칭이 공충도, 공홍도, 공청도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감영의 위치는 한때 공산성이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봉황산 기슭에 건물을 조영하여 이용되었고, 1895년 8도제가 폐지되고 1896년 충청도가 남도와 북도로 분리되면서 충청남도 도청으로 1932년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근현대]

18세기 공주목은 26개 면 207개 리로 편제되어 충청도 최대 규모의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 이후 군면 폐합 및 행정구역 일부를 인근 군에 이관함에 따라 구역이 다소 축소되어 1930년 1읍 12면의 규모가 되었다. 1986년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고, 1995년 유구면이 유구읍으로 승격되어 2000년 12월 현재 1읍 10면 6동 209동리 편제로 되어 있다.

인구는 1966년 22만을 최대치로 점차 감소하여 현재 13만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충청남도 도청 이전 이후 1938년 공주여자사범학교(현재 공주교육대학교) 설립, 1948년 공주사범대학(현재 공주대학교) 개교 등을 계기로 교육 중심의 도시로 특성화하고, 백제 문화를 기반으로 한 역사 관광 도시로서의 발전이 추구되고 있다. 부여와 격년 혹은 공동으로 개최해온 백제문화제는 2008년에 54회를 맞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