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김제시 백학동에서 거북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거북바위」는 백학동의 용곳 뒷산에 있는 거북 형상의 바위에 얽힌 신이담이자 암석유래담이다. 이를 「박장군바위」라고도 한다. 첫째 이야기는 거북바위 등에 임씨가 팠다는 맷돌 흔적이 남아 있는 흔적전설이며, 둘째 이야기는 박석정(朴石精)[김제시 백학동 용곳 출생]의 충의형 암석전설이다. 박석정은 1592년(선조 2...
-
전라북도 김제시 용동에서 여우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우고개」는 강태진이 묘령의 아가씨로 둔갑하여 유혹하는 여우에게 해를 가하자 여우가 이에 보복을 하였고, 이에 다시 강태진이 여우를 찾아서 죽였다는 신이담이자 지명유래담이다. 1995년 김제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김제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여우고개는 400여 년 전부터 김제시 용동에 터를 잡고 살아온 진주강...
-
전라북도 김제시 옥산동에서 코비기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코비기재」는 옥산동의 산정멀에서 입석동으로 넘어가는 코비기재에 있는 주막의 주모가 행실이 나빠 코를 베였다고 하는 응징담이다. 또한 코비기재에서 망나니가 죄인들의 목을 쳐서 ‘목기기재’라고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기도 하다. 1995년 김제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김제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옛적에 코비기재에 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을 넘어가는 능선부로서 주요 교통로로 이용된다. 보통 고개라는 지명이 쓰이지만 이밖에 재·현(峴)·치(峙)·영(嶺) 등의 지명 접미사가 쓰이기도 한다. 고개는 그 지역 산지 중 가장 높은 곳을 통과하는 관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제 지역의 주요 고개로는 도장리고개, 불무재, 숙조고개, 여우고개, 토끼재, 무령...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에 있는 산. 고산(高山)[66m]은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전라남도 광양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갈라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의 한 줄기다. 모악기맥은 만경강과 동진강을 가르며 엄재, 국사봉, 화율봉, 장근재, 모악산, 유각치, 묘고산에 닿는다. 묘고산에서 서쪽으로 구성산 줄기를 나누고 곧바로 헬리포트에서 두 갈래를 친다. 서쪽은 구성산으로...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있는 공덕저수지에서 이름을 따서 공덕리(孔德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동이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명마리·광동·송산리·존걸리·신흥리 일부, 동일도면 남당리·마현리 일부를 병합하여 공덕리라 하고 김제군 공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공덕면 공덕...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행정구역.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만경군의 동일도면·동이도면·북이도면을 병합하고, 당시 동이도면 공덕리에 있는 공덕저수지[일명 공덕지]에서 이름을 따서 공덕면(孔德面)이라 하였다. 삼한시대에 마한에 속했던 지역으로, 백제시대에 내리아현(乃利阿縣),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이성현(利城縣), 조선시대에 만경현(萬頃縣)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마현리에 있는 수령 약 650년의 보호수.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하여 정자나무나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예부터 선비들은 은행나무 밑에 단을...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중엽 전씨·송씨·오씨·조씨 등이 모여 살며 마을이 형성되었다. 참판·좌랑·정령·현감 등의 벼슬을 한 사람이 많이 살게 되자 관촌으로 부르다가, 관동(官東) 위에 있는 마을이므로 관상리(官上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마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관상리·석동리·거산리·송방리 일부, 북면 송중리·송상리·...
-
전라북도 김제시 광활면에 있는 농경지. 광활들은 조정래의 대하소설 『아리랑』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일제강점기인 1925년 광활면 일대 갯벌의 대규모 간척 공사에 전국의 수많은 인부들이 동원되었다. 그들의 노력으로 해안 지형은 ‘개땅’으로 바뀌었고, 수평선은 지평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간척민들 대부분은 자신들이 개척한 그 개땅에 소작인으로 눌러앉아 살면서 일본인들의 착취 대상으...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와 금산면 용산리, 청도리에 걸쳐 있는 산. 구성산(九城山)은 한자로 아홉 구(九), 성 성(城)을 써서, 아홉 개 산봉우리에 성을 쌓아 적의 침입을 막았던 산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역 주민에 의하면 굴성산으로 불렀다고도 한다. 정상의 서편 100m 지점의 헬기장이 있는 상봉과 구성산 줄기와 봉두산(鳳頭山) 주위에 성을 쌓고 적군의 침입을 막았던...
-
전라북도 김제시 서암동에 있는 산. 구수산(九水山)은 소나 말의 먹이를 담는 구수통[구유의 사투리] 형상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뒷산은 구수산, 앞산 밑에는 생수가 솟는 물구멍이 아홉 군데가 있어 구수멀로 불렸다는 설도 있다. 예부터 구수산에는 생수가 많이 솟아서 농사짓는 데 걱정이 없었고, 지금은 농경지에 물을 공급하는 배수지가 있어 선조들이 지은 지명이 증명된 셈이다. 구수산...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화율리와 완주군 구이면 안덕리, 정읍시 산외면 상두리에 걸쳐 있는 산. 국사봉(國師峰)은 주변 마을에서 선비가 많이 배출되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국사봉하면 깃대봉, 백운산, 영취산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이름이 가장 많은 산 중의 하나이다. 전라북도 지역만 해도 국사봉이란 이름을 가진 산은 김제시 모악산 정상, 무주군 부남면의 국사봉, 임실군 운암면의...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김제·금산·금천 등 이름에 쇠 ‘금(金)’자가 들어간 지역에서 사금(砂金)이 많이 채취된 것으로 미루어, 금구(金溝) 또한 하천과 산에서 사금이 많이 나온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측된다. 조선 말기 금구군 동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길리·장교리·상학리를 병합하여 금구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행정구역. 김제·금산·금천 등 지명에 쇠 ‘금(金)’자가 들어간 지역에서 사금(砂金)이 많이 채취된 것으로 미루어, 금구(金溝) 또한 하천과 산에서 사금이 많이 나온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측된다. 백제시대에 구지지산현(仇知只山縣),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금구현(金溝縣), 조선시대에 전주속현 지역이었다. 1910년 금구군으로 승격되어 10개 면을 관할하다가,...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에서 발원하여 봉남면 종덕리에서 원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금구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는 본래 금구군 동도면 지역으로 구성산에서 흘러내린 급류를 느리게 하려고 선바위를 세워 놓았기 때문에 선바우 또는 선암이라 했다. 하지만 1914년 일제강점기에 영천리와 전주군 우림면 축령리를 합하여 선암리로 이름을 바꾸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되었다. 영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자리 잡고 있어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륙성 기후를 띤다. 겨울에는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덥다. 봄과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다. 김제를 비롯...
-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종덕리 성덕마을에 있는 수령 약 480년의 보호수. 버드나무 중에 가장 크고 웅장하게 자라 왕버들이라고 한다. 개울가와 호수가 등지에 많이 서식하며, 습지에서 잘 자라 수원(水源)의 지표 식물이기도 하다. 한자어로 하류(河柳) 또는 귀류(鬼柳)라고도 한다. 높이는 20m, 가슴높이 둘레는 1m 넘게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깊게 갈라진다. 새 가지는 처음...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낙양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흥리·장흥리·사방리를 병합하여 낙성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낙성리가 되었다. 북쪽으로 완주군과 이웃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두월천(斗月川)이 흐르는 중산간 지역이다. 2009년 11...
-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과 성덕면, 죽산면에 걸쳐 있는 농경지. 남포들 주변으로 신평천(新坪川)이 남서류하여 공사중인 새만금간척지로 유입된다. 서북쪽으로는 해안 간척지인 광활들과 진봉들이 이어져 광활한 평야를 이루고 있다. 남포들은 신평천의 하류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김제시 복죽동과 성덕면 대석리 하곡 충적평야와 성덕면 남포리, 죽산면 종신리·대창리 일대의 해안 충적평야로 이루어져...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쪽의 바닷가에 있는 포구라는 뜻에서 남포리(南浦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남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고현리·나시리 각 일부, 암일면 양지리·도하리를 병합하여 남포리라 하고 김제군 성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성덕면 남포리가 되었다. 남쪽으로 신평...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수록리에서 발원하여 공덕면 제말리·화용리에서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내포천이 발원하는 백산면 수록리는 원래 김제군 연산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상리·중상리·하상리와 하조리·산치리 일부를 합하여 수록리로 이름을 바꾸고 김제군 백산면에 편입되었다. 상상(上尙)은 풍수지리상 산세가 코끼리 머리 형국이라 상두(象頭) 또는 상돌로 불렸으나...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당월마을 뒤 묘고산에서 발원하여 두월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당월천이 발원하는 금구면 월전리는 원래 금구군 동면 지역인데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당월과 봉산, 동도면의 어전리를 합해서 당월과 어전의 이름을 따 금구면에 편입되었다. 월전리에는 어전·연동·봉산·당월의 4개 마을이 속한다. 봉산(鳳山)은 봉두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어전(御...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큰 나무가 많아서 대목리(大木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남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탄상리·탄하리·옥동리·신검리·부흥리·다복리·소목리·신등리 각 일부, 김제군 대촌면 연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목리라 하고 김제군 성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성...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돌샘[石井] 부근에 있는 큰 마을이라는 뜻에서 대석리(大石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남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소리·소석리·신평리·신등리·병라리·석동리·도하리·양지리·소목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대석리라 하고 김제군 성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성...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청산(大靑山)의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대청리(大靑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북일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소청리·능하리·신기리·청운리·대신리·관원리·내신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청리라 하고 김제군 청하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가 되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대장리의 ‘대’자와 동화리의 ‘화’자를 따서 대화리(大化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장리·오양리·동화리 일부, 전주군 이서면 앵곡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화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
전라북도 김제시 도장동과 황산동을 연결하는 고개. 도장리고개는 원래 석정리 뒷산이 장군이 앉아 있는 형국인 장군대좌(將軍對坐)로 장군의 칼을 감춰 둔 곳이라서 ‘도장(刀藏)’이라 했는데 후에 한자가 ‘도장(都莊)’으로 바뀌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길을 만들기 위해 산허리를 자르자 땅에서 피가 솟아났다고 한다. 지대가 낮은 지역의 고개이며, 동쪽에 규모가 작은 저수지가 있다....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서리와 석교리 일대에 걸쳐 있는 농경지. 돔배는 김제시 백산면 석교리 대촌의 다른 이름으로, 광활면 간척지사업이 완성되기 전 신평천(新坪川) 하구의 수교제수문이 없었을 때는 돔배까지 밀물이 올라왔다. 돔배는 바닷물이 드나들 때 배가 떠있다고 하여 ‘뜬배’라고 부르던 것이 변하여 ‘돔배’라는 이름으로 불려졌다고 한다. 돔배들은 신평천의 중류 일대에 위치하고...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동계리에 있는 농경지. 동계(東溪)는 원래 방계로 불렸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동쪽에서 물이 흘러내린다는 의미로 동계로 고쳤다. 동계들 남쪽에는 찰뫼산[31.8m]이 자리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만경강(萬頃江)이 동에서 서류하여 공사중인 새만금간척지로 유입되고 있다. 동계들은 만경강의 하류 일대에 위치하고 있는 충적평야이다. 주요 들녘으로는 귀...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마을 동쪽에서 시냇물이 흘러내리므로 동계리(東溪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북이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정리·신전리·용전리·진산리·저산리 일부, 목연면 신전리 일부를 병합하여 동계리라 하고 김제군 공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산인 동지산(東芝山)에서 이름을 따서 동지산리(東芝山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북일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갈산리·궁동리·척산리·내실리·내토리·대신리 일부를 병합하여 동지산리라 하고 김제군 청하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청하면 동지산리가 되었...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에서 발원하여 청하면 동지산리에서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동지산천이 발원하는 청하면 대청리는 원래 만경군 북일도면 지역으로 대청산과 대청역이 있어 대청 또는 역촌으로 불렸다. 1581년(선조 14)에 과거에 낙방한 이씨가 정착했다. 옛적에 전주나 서울을 가던 벼슬아치들이 말을 갈아탔다는 의미로 백마동, 또는 박막동으로 불렀으나 행정구역 개편 때 대청...
-
전라북도 김제시 남부를 지나 새만금으로 흘러드는 하천. 동진강 유역은 동학 농민 혁명의 발단이 된 주 무대이다. 동학 농민 혁명은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이 만석보(萬石洑)를 쌓고 수세를 너무 많이 거두어들인 데서 촉발된 농민 혁명이다. 정읍시 신태인읍에서 고부 방향으로 가다가 동진교를 건너 하류 쪽으로 바라보면 바로 아래에 농민들이 만석보를 부수고 관가로 쳐들어간 흔적을 볼 수...
-
전라북도 김제시 동진강 하구에 있는 철새도래지. 우리나라는 이동성 철새의 중간 기착지 및 월동지로서 매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약 147만 개체가 찾아와 겨울을 난다. 환경부는 본격적인 철새 도래 시기인 12월 초에 주요 철새도래지인 금강 하구, 해남·순천만,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 한강 하구 등을 대상으로 환경부, 시도,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등 관련 기관 합동...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과 백산면 하정리에 걸쳐 있는 산. 두악산(斗岳山)은 호남야산개발사업 기공식 때 박정희 대통령이 방문했던 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호남야산개발사업은 김제시 검산동 양수장에서 양수기를 이용해서 섬진강 물을 품어서 물이 부족한 산등성이마다 용수로를 개설해서 농업용수를 공급하여 옥토로 바꾼 대규모 국책사업이었다. 두악산은 김제평야에서 바라보면 마치 말[斗]에다 쌀...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 매봉산에서 발원하여 황산면을 지나 원평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두월천(斗月川)은 매봉산(梅峰山)[248.8m]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다가 농업용 저수지인 대율저수지를 거쳐 사행(蛇行)하여 용봉교에서 방향을 바꾸어 남쪽으로 흘러 김제시 부량면 용성리 벽골제단지 내에서 원평천(院坪川)으로 유입된다. 두월천은 유량이 많은 편으로 하천의 바닥이 완만하며,...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남정리와 백구면 마산리를 지나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마산천이 만경강에 합류하는 백구면 마산리는 원래 김제군 공동면 지역인데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 통폐합에 따라 마전리·난산리·반월리·신모리 일부를 합하여 마전과 난산의 이름을 따서 마산리로 고쳐서 김제군 백구면에 편입되었다. 마전리는 삼베를 짜는 삼을 많이 재배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마전과 난산을 합...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형국이 말을 닮았으므로 마현리(馬峴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동이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반곡리·남당리·내동리·공덕리 일부, 북이도면 진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마현리라 하고 김제군 공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공덕면 마현리가 되었다. 북쪽에 찰...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발원하여 김제시를 지나 서해의 새만금으로 흘러드는 하천. 만경강 유역의 수리 시설과 치수사업은 우리나라 8대 오지로 불리는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에 1923년 동상저수지를 축조하는 것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1988년에는 동상저수지 아래에 20m를 높여 대아저수지를 축조하였다. 1925~1930년에는 직강(直江) 공사, 1935년 경천저수지 축조, 1930~194...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강 하류에 있는 농경지. 만경평야는 김제시와 완주군·익산시·군산시에 걸쳐 있는 만경강(萬頃江) 하류에 형성되어 있으며, 동진강 하류의 김제평야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평야에 속한다. 인접한 김제평야와 더불어 김만경평야·금만평야·호남평야라고 불리며, 한국의 주요 곡창지대를 이룬다. 본래 만경평야는 홍수와 가뭄이 심해 대부분이 황무지나 다름없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신포리 망해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보호수. 팽나무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우리나라의 정자나무 가운데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이 심어져 있다. 자단수, 청단, 포구나무, 박자수, 목수과자, 달주나무, 편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줄기는 잿빛이고 매끈하며 가지가 옆으로 많이 뻗는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윗부분에 잔톱니가 있다. 꽃은 5...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와 전주시 용복동 경계에 있는 산. 매의 형국인 매봉산[248.8m]은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갈라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의 한 줄기이다. 모악기맥은 만경강과 동진강을 가르며 엄재, 국사봉, 화율봉, 장근재, 모악산, 유각치, 모고산에 닿는다. 모고산에서 서쪽으로 구성산 줄기를 갈라놓고 북쪽으로 달리며...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와 정읍시 신태인읍 청천리에 걸쳐 있는 산. 명금산(鳴琴山)은 옥녀가 가야금을 타는 옥녀탄금(玉女彈琴)의 형국이다. 전설에 의하면 통일신라 38대 원성왕 때 벽골제(碧骨堤)를 대대적으로 보수할 당시 전국에서 부역으로 차출돼 온 백성들이 계속되는 노역으로 인해 모두 지쳐서 능률이 오르지 않았다. 이에 김제태수가 지친 백성들을 위하여 하루 동안 휴식을 취하...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대창리와 죽산리에 걸쳐 있는 산. 전설에 의하면 옛적에 두 형제 산이 정답게 지냈는데, 어느 날 물난리가 나자 두 산이 조난을 당해 형 산은 겨우 제자리로 돌아왔으나 동생 산은 죽산까지 떠 내려왔다고 한다. 그 산이 명량산으로 형을 잃고 슬피 울었다 하여 명량산(鳴良山)이라 전한다. 명량산은 죽산면 평야지대에 유일하게 있는 산으로 마치 누에가 길게 누워 있는...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과 전주시 중인동, 완주군 구이면에 걸쳐 있는 산. 호남의 조망대인 모악산(母岳山)은 백두대간 장수군 영취산에서 갈라져 나온 금남호남정맥이 진안군, 완주군 경계의 주화산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져 북으로 금남정맥을 보내고, 호남정맥이 남쪽으로 가다가 운암 초당골에서 나눈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이 모악기맥이 15.8㎞를 달려서 엄재, 국사봉을 거쳐 모악산에 닿는다....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몽산리에 있는 산. 몽산(夢山)은 어떤 도인이 꿈을 꾸고 나서 보니 산이 생겼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산 아래 마을이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이라 하여 우몽산(牛夢山)이라고도 한다. 몽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에서 분기되어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모악기맥은 만...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300여 년 전 풍수지리에 밝은 지관 두사총이 마을 모양이 풍취라대(風吹羅帶)의 형국이라고 한 데서 묘라리(妙羅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남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묘후리·신흥리·인흥리·소석리·다목리·대목리 각 일부, 군내면 남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묘라리라 하고 김제군 성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 문수사에 있는 수령 약 750년의 보호수. 느티나무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홍주수·정자나무·귀목 등으로도 불린다. 어린 나무는 나무껍질이 반들반들한 반면, 늙은 나무는 거북등처럼 갈라진다. 길이 2~7㎝ 정도인 잎은 황록색으로 변하며, 4~5월 한 나무에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피목(皮目)[껍질눈]은 길어지며 잔가지는 가늘고 어린 것은 잔털이 있다. 부드...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화율리와 완주군 구이면 안덕리를 연결하는 고개. 밤티재는 원래 금산면 화율리 하화마을 동북쪽 뒷산에 밤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인데, 밤티재를 한자로 옮겨 율치(栗峙)라고도 불린다. 모악기맥 국사봉(國師峰)과 모악산(母岳山)을 이어주는 산줄기의 고개이며, 모악산도립공원의 남단에 있다. 밤티재 서쪽으로는 율치마을이 있다. 김제시 금산면 화율리와 완주군 구이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와 완주군 구이면 안덕리를 연결하는 고개. 김제 청룡사(靑龍寺)에서 완주군 구이면 배재울과 탑선을 넘어가는 배재는 옛적에 배가 넘어 다녔다는 전설 때문에 배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배재는 호남정맥 운암 초당골[막은댐]에서 분기한 모악기맥이 엄재, 국사봉, 밤티재, 화율봉을 지나 장근재를 가기 전에 있는 고개로 모악산(母岳山)으로 가는 길목에 해당한다....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백구리에 있는 농경지. 백구들의 서쪽은 동계들과 이웃하고 있으며, 북쪽에서는 만경강(萬頃江)이 동에서 서류하고 있다. 백구들은 만경강을 젖줄로 삼고 있으며, 장마두평 들녘은 백구정보(白鷗亭洑)를 젖줄로 하여 농경을 하고 있다. 백구나루터는 김제시 백구면 백구리 동북쪽의 익산시로 이어진다. 국도 26호선이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으로 백구들을 지난다....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행정구역.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백석면(白石面)의 ‘백(白)’자와 연산면(延山面)의 ‘산(山)’자를 따서 백산면(白山面)이라 하였다. 삼한시대에 마한에 속했던 지역으로, 신라시대에 벽성군, 고려시대에 전주속현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백석면의 금동·삼수·석정·사가·괴방·소음·황경·자학·상서·하서·요교·돌제·옥정·석정·상두악·하두악·상말...
-
전라북도 김제시의 시화(市花). 백일홍(百日紅)은 김제시를 상징하는 꽃으로 곳곳에 심어져 있다. 특히 금산사 미륵전 앞에 붉게 핀 백일홍이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으며, 귀신사 석탑 앞의 백일홍과 어깨를 견준다. 백일홍은 백일 동안 붉은 꽃을 피운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배롱나무 또는 백일초라고도 한다. 목백일홍은 껍질이 유별나게 생겨 사람들의 눈길을 끈다. 높이는 3~7m에 이...
-
전라북도 김제시 양전동과 서정동, 봉남면, 금산면 원평리에 걸쳐 있는 농경지. 봉남들 주변으로 원평천(院坪川)이 흐르고 있다. 봉남들은 원평천의 상류와 중류에 형성되어 있는 하곡 충적평야이다. 지방도 712호선이 봉남들을 지나고 있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와 선암리에 걸쳐 있는 산. 봉두산(鳳頭山)은 봉황을 닮은 형상이라는 데서 유래된 지명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봉두산은 현 동쪽 이십리에 있다[鳳頭山在縣東二十里]’고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통일신라시대 전후에 축조된 것으로 추측되는 월전리 성터가 있어서 인지 ‘산성봉(山城峰)’으로 나와 있다. 봉두산의 산줄기는...
-
전라북도 김제시 난봉동, 백학동, 황산면, 금구면 산동리에 걸쳐 있는 농경지. 봉산들 주변으로 두월천(斗月川)이 흐르고 있다. 봉산들은 두월천 주변의 하곡 충적평야로, 고잔들 또는 역전평야라고도 한다. 지방도 714호선은 동서 방향으로 봉산들을 지나며, 호남고속국도는 남북 방향으로 봉산들을 지나고 있다....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월봉리와 용지면 봉의리에 걸쳐 있는 산. 봉의리(鳳儀里)라는 마을 이름도 봉의산(鳳儀山)에서 따왔으며 일명 범외산으로도 불린다. 용지면은 용(龍)과 관련된 연못[池]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봉의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에서 분기되어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산. 서해를 바라보는 봉화산(烽火山) 정상에 봉화대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도 주춧돌과 자연석으로 쌓았던 담장의 흔적이 뚜렷하다. 하지만 최근에는 그 돌들을 흙으로 묻고 헬리포트를 만드려 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봉수대의 상단좌대는 가로 6m, 세로 10m의 직사각형이며, 서북쪽과 동북쪽은 능선이 있고 좌우는 절벽이다. 정상의 넓이는 33...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부마을의 지형이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배의 형국과 같아서 부거리(浮去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전혀 뜻이 다른 부거리(富巨里)로 고쳤다. 조선 말기 김제군 연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건리·점리·하건리·신리 일부, 백석면 장자리 일부를 병합하여 부거리라 하고 김제군 백산면에 편입하였다...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에 있는 농경지. 부량들의 북쪽으로는 원평천(院坪川)이 동에서 서류하여 공사중인 새만금간척지로 유입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동진강(東津江)이 흘러 새만금간척지로 유입되고 있다. 부량들은 원평천의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충적평야이다. 주요 들녘으로는 금강리에 말배미들·쇠똥거리들·새배미들·신평·앵두밭들·저그밭들·한똘들, 신두리에 대구들·대맹이들·벽겨들·빼지기들·연번...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반월리 일대에 있는 농경지. 부용들의 북쪽으로는 만경강(萬頃江)이 동에서 서로 흐르고 있으며, 인근에 부용천(芙蓉川)이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백구들과 동계들이 이웃하고 있다. 부용들은 만경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충적평야로, 만경강을 젖줄로 삼고 있다. 주요 들녘으로는 소의 멍에처럼 생긴 들, 연못이 있는 둠벙배미, 대꼬지들, 한국전쟁 때 난민이 머물렀...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 승반산과 용지면에서 발원하여 청하면 동지산리에서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부용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흥사동은 흥복사(興福寺)가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승반산과 승가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다. 승반산 서북쪽으로 1㎞ 지점에는 두악산이 있다. 부용천이 만경강에 합류되는 김제시 청하면 동지산리는 내륙 지역 동쪽에 있어 앞산의 이름대로 동지산이라 불렀다. 동지산리는...
-
전라북도 김제시의 시조(市鳥). 비둘기는 한 번 맺은 짝과 평생을 함께 한다. 번식 행동은 단순하여 수컷이 구구구 울며 목을 숙이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하며 암컷 곁으로 와서 부리를 벌리면 암컷은 그 안에 부리를 넣는다. 수컷은 먹이를 토해 주지만, 실제로 토하지는 않고 형식적으로 하는 종도 있다. 둥지는 수컷이 자리를 결정하고 재료를 나르면 암컷이 짓는다. 나무 위에 잔가지를...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송산리와 구암리에 걸쳐 있는 산. 사창산(社倉山)은 일명 수동산으로도 불리며, 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환곡[봄 춘궁기에 백성에게 빌려 줬다가 가을 수확한 곡식으로 받음]을 저장하던 창고인 사창(社倉)이 있어 유래된 이름이다. 사창산 산정은 가뭄이 들면 마을 주민들이 볏짚이나 보릿대 등을 태우며 기우제를 지내던 곳으로 무제봉이라고도 한다. 사창산의 산줄기는 호남...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김제 지역의 산들은 대부분 호남정맥(湖南正脈)에서 갈라져 나온 모악기맥(母岳岐脈)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악산(母岳山)[793.5m], 국사봉(國士峰)[543m], 구성산(九城山)[487.6m]을 제외하면 대부분 50~150m가량의 낮은 산과 구릉 수준이다. 전라도의 땅들과 물줄기들은 백두대간 장수 영취산(...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려시대에 낙양현(洛陽縣)에 속하였고, 조선 말기 금구군 낙양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둔산리, 동면 유암리·대장리 일부를 병합하여 산동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문헌에 따르면 낙양현은 금구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7리[현재의 산동리·낙성리·청운리 지역] 거리에 있었다고 한다. 1995년 1월 1일 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와 정읍시 산외면 상두리에 걸쳐 있는 산. 코끼리 머리를 닮은 산이어서 상두산(象頭山)이라 한다. 상두산은 본래 석가가 고행 길에 6년 동안 설법을 했다는 인도 불교의 성지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상두산 자락 남쪽의 정읍시 산외면은 불교 조계종 총무원장을 역임한 월주스님 등의 고승을 배출해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김제시와 정읍시에 걸쳐 있는 상두...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산면에서 가장 위쪽[동쪽]에 자리하고 있어 상리(上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백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소음리·황경리·자학리·상서리·하서리·요교리 일부를 병합하여 상리라 하고 백산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백산면 상리가 되었다. 용암천(龍岩川)이...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상두의 ‘상’자와 옥정의 ‘정’자를 따서 상정리(上井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백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돌재·옥정·요교·석정·상두·사거리 일부를 병합하여 상정리라 하고 백산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가 되...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서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신리·양명리·하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상신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상신리가 되었다가 동년 8월 31일 상신리를 서도리로 변경하였다. 경지가 넓게 조성되어 있고, 마을 위아래로 하천이...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에 돌다리가 있어 돌다리 또는 석교(石橋)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연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전석리·후석리·양청리·신리 일부, 만경군 남일면 부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석교리(石橋里)라 하고 김제군 백산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백산면 석교리가 되...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뒷산에 큰 바위가 있어 돌팍재[돌팍은 돌의 사투리]라 하다가, 100여 년 전 이 마을에 살던 학자가 석동(石洞)으로 고쳤다. 조선 말기 만경군 남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산리·도하리·양지리·묘라리·신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석동리라 하고 김제군 성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에서 발원하여 원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선동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는 본래 금구군 수류면 지역으로 풍수지리상 선녀가 베 짜는 형국이라 옥녀 또는 선동(仙洞)으로 불렀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부평리 일부를 합하여 금산면에 편입되었다. 산수동(山水洞)은 동학 농민 혁명 때 최문범·장순철·황명국 등이 피난 와서 형성된...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성산(九城山)[487.6m]에서 흘러내린 급류에 영천마을이 수해를 입자 물의 흐름을 느리게 하려고 냇가에 바위를 세운 뒤로 선바우 또는 선암이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뜻이 전혀 다른 선암(仙岩)으로 바뀌었다. 조선 말기 금구군 동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영천리와 전주군 우림면 축령리를 병합하여 선암리라 하고...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덕산(聖德山)에서 이름을 따서 성덕리(聖德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만경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모산·나시·남포 각 일부, 상서면 부동·정동을 병합하여 성덕리라 하고 김제군 성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가 되었다. 남쪽으로는 김제시 성...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행정구역. 성덕산(聖德山)에서 이름을 따서 성덕면(聖德面)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남일면 지역으로 도상·석동·도하·양지·신평·대석·용소·소석·신등·인흥·다복·대목·탄상·탄하·옥동·신점·부흥 등 21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이면 모산·나시·고현·남포 4개 리, 상서면 부동리·정동리 일부, 군내면 남산리 일부, 김제군 대촌면...
-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산. 백제 때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토성과 석성이 있어 성산(城山)으로 불린다. 성산(城山)은 『한국지명총람』에는 ‘삼국통일 전쟁 때 당나라 원병이 백제와 싸우기 위해 토성을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성산은 서해안에 가까이 있어 해적의 침입을 방어하기에 좋은 요새지였다고 한다. 『김제읍지(金堤邑誌)』에는 동헌을 중심으로 성산을 비롯한 교동, 옥산동,...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김제군 연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상리·중상리·하상리·산치리·하조리 일부를 병합하여 수록리라 하고 김제군 백산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백산면 수록리가 되었다. 2009년 11월 30일 현재 면적은 2.77㎢이며, 총 149가구에 330명[남자...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과 백산면 하정리에 걸쳐 있는 산. 고구려에서 온 보덕화상(普德和尙)이 650년(의자왕 10) 사찰을 창건하고 승가사(僧伽寺)라 하였으며, 승가산(僧伽山)은 이 승가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그 뒤 승가사는 흥복(興福)이라는 욕심 많은 관리가 자신의 죄를 뉘우치는 뜻으로 정유재란 때 소실된 사찰을 1625년(인조 3) 중창하면서 그의 이름을 따서 흥복사로 바꾸었...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에 있는 산. 승반산(升盤山)은 풍수지리상 쌀을 되는 되[升]를 거꾸로 엎어 놓은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승반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헤어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모악기맥은 만경강(萬頃江)과 동진강(東津江)을 가르며 엄재, 국사봉, 화율봉, 장근...
-
전라북도 김제시 신덕동과 부량면 신용리에 걸쳐 있는 산. 벽골제(碧骨堤)는 백제시대 330년(비류왕 27)에 축조되었고, 몇 차례 보수공사가 있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1415년(태종 15)에 벽골제를 대대적으로 보수하기 전 신털미산 일대는 나무 몇 그루만 서 있던 평평한 벌판이었다. 벽골제 보수를 위해 전국 방방곡곡에 영을 내려 백성들을 동원하였는데, 그 인부들이 신털미산에서 쉬...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 두악산에서 발원하여 성덕면 남포리에서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신평천이 발원하는 백산면 부거리는 마을이 물에 떠 있는 형국이라 부거(浮去)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김제군 연산면에서 백산면에 편입되면서 뜻이 전혀 다른 부거리(富巨里)로 바뀌었다. 부건마을은 수리시설이 없었던 옛적에 해마다 흉년이 들어 마를 ‘건(乾)’자를 썼는데, 해방 이...
-
전라북도 김제시 연정동에서 발원하여 신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신흥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연정동은 본래 김제군 대촌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연지·냉정·여초·월봉·경제·죽산·소산·진가, 우산면 신흥리 일부, 월산면 신월리를 합하여 연지와 냉정의 이름을 따서 연정리라 불렀다. 그 뒤 1989년 김제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연정동이 되었다. 월봉·여연·신원·경제·냉정·후신의...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들. 심포마을은 진봉산 남쪽의 마을로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깊숙이 들어간 곳이란 의미로 ‘깊은개’라고 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을 하면서 깊은 포구라는 뜻의 심포(深浦)로 고쳤으며, 심포들은 이 심포에서 유래하였다.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의 주요 들녘에는 심포와 안하(雁下) 사이의 간석지를 막아서 만든 상무간척지가 있다. 진봉산과 안행산...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 고깔봉 일대에 폐광으로 형성된 굴. 김제시 금구면과 금산면은 지명에서부터 쇠 ‘금(金)’자가 들어가며, 금구면 대화리 고깔봉 일대에는 금을 캐기 위해 1902년부터 채굴을 시작한 금구광산과 1913년부터 채굴을 시작한 선암광산 등이 있다. 이러한 광산들은 1945년 광복 직전 「금광정비법」에 의거 폐쇄된 뒤 방치되었다. 일제강점기 금구면에서는 많은 양...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연포리에서 발원하여 동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연포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죽산면 연포리는 원래 홍산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연봉리·유호리·마포리·상신리·하신리·상포리·마삼리의 일부와 반산면의 신월리 일부, 부량면의 옥동리와 신체리 일부, 고부군 백산면의 대선리·소삼리·대삼리를 합하여 연봉과 마포의 이름을 따 연포리로 고쳐서 죽산면에 편입되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오양리의 ‘오’자와 지봉리의 ‘봉’자를 따서 오봉리(五鳳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양리·지봉리·목련리 일부를 병합하여 오봉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가 되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이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도면 용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옥성리라 하고 김제군 쌍감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옥성리를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옥성리가 되었다. 북으로 두월천(斗月川)이 흐르는 충적...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서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선약리·대복리·용정리·하하리 일부, 남면 송내리를 병합하여 용복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용복리가 되었다. 2009년 11월 30일 현재 총 100가구에 212명[남자 96명, 여자 116명]의 주민이 살...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관상리에서 발원하여 만경읍 화포리를 지나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용산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청하면 관상리(官上里)는 벼슬한 사람들이 많이 살아서 관촌으로 부르다가 관동마을 위쪽이라서 관상이라 했다. 관신(官新)은 벼슬한 사람들이 새로 들어와 형성된 마을이란 뜻이다. 관동(官洞)은 관율로 불렀으나 조선 말기 조씨 가문의 벼슬한 사람들이 많이 살면서 이런 이름...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용암리에서 발원하여 공덕면 동계리에서 만경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용암천이 발원하는 용지면 용암리는 본래 김제군 모촌면 지역인데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와리·월암리·용지리 일부를 합하여 용지와 월암의 이름을 따서 용암리(龍岩里)로 고쳐 용지면에 편입되었다. 용암리에는 조선 선조 때부터 학문이 뛰어나고 효성이 지극하며 윤리와 도덕을 바탕으...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에 있는 농경지. 용지들은 해발고도 50m 미만의 구릉과 만경강(萬頃江)의 지류인 부용천(芙容川) 주변의 충적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곳곳에 죽제, 관제, 마교제, 반자제 등의 크고 작은 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용지들의 주요 들녘으로는 구암리에 된샘이들·사급들·안터들, 봉의리에 방애다리들, 부교리에 갯들·쌍시암들, 예촌리에 박새원들·일곱마지기들, 와룡리에 고은...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보는 사람에 따라 용과 뱀이 꿈틀거리는 용사(龍蛇)와 같고 곰산방죽으로 불리는 웅지(熊池)가 있으므로, ‘용’자와 ‘지’자를 따서 용지리(龍池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금구군 동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광현·용산·우산·반용 등을 병합하여 용지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에서 발원하여 봉남면을 거쳐 동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원평천(院坪川)은 김제시 금산면 화율리에서 지방2급 하천으로 시작된 뒤 금구천이 합류하는 봉남면에서 국가 하천으로 바뀌고 죽산면에서 동진강에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든다. 예전에는 우리나라 도작문화의 발상지였던 김제시 부량면 벽골제[사적 제111호]의 수원(水源)으로 이용되었다. 원평천과 동진강 사이에...
-
전라북도 김제시 제월동, 신월동, 월봉동, 월성동, 양전동에 걸쳐 있는 농경지. 월촌들은 남쪽의 원평천(院坪川)과 동진강(東津江) 사이에 발달한 하곡 충적평야인 부량들[외뱀이들] 및 서쪽의 죽산들[대메들]과 이어지는 해발고도 5m 미만의 넓은 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월촌들은 원평천과 두월천(斗月川)의 합류 지점인 제월동, 신월동, 월봉동, 월성동, 양전동 일대에 형성되어 있는 하곡...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초승달 형상이어서 월현리(月弦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대리·목교리·석한리·장천리·중대리 일부, 동이면 신기리 일부를 병합하여 월현리라 하고 김제군 청하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청하면 월현리가 되었다. 2009년...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서 발원하여 원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유각천이 발원하는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유각마을에는 전주시와 김제시의 경계를 이루는 모악기맥의 유각치가 있다. 유각치의 북동쪽은 동진강의 분수령이다. 청도리는 본래 전주군 우림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금구면 두정리와 동곡리, 수류면의 용정리 일부를 합하여 청도리라는 명칭으로...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소토리와 청하면 장산리에 걸쳐 있는 산. 산 아래 마을에 바위가 서 있어 선돌, 또는 선바위라 하다가 한자로 표기하면서 입석산(立石山)이 되었다. 입석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헤어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모악기맥은 만경강(萬頃江)과 동진강(東津江)을 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와 완주군 구이면 안덕리를 연결하는 고개. 장근재는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서 완주군 탑선을 넘어가는 고개이다. 소나 말이 짐을 싣는 길마형국이라서 길마재라고도 하며, 미치(美峙)라고도 한다. 장근재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운암 초당골에서 분기한 모악기맥이 엄재, 국사봉, 밤티재, 화율봉을 지나서 배재가 있고 장근재를 지나면 모악산(母岳山)에 닿는다. 장근재...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장산리에 속하는 법정리. 장산은 마을의 산이 길게 뻗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말기 만경군 북일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청운산 고개에서 여자 장수가 태어났다 하여 씩씩할 ‘장(壯)’자, 뫼 ‘산(山)’자를 써서 장산이라 불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금차리·거산리·공향리·신월리·관원리 일부, 김제군 마천면 청하리·제상리·제하리·거산리...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저산리에 있는 농경지. 김제시 공덕면 저산리는 당제산 또는 저산으로도 불린다. 본래는 당제를 지내던 산 밑이라서 제성(祭城)이라 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저산(楮山)으로 고쳤다. 저산들 북쪽으로 만경강(萬頃江)이 흐르고 있다. 저산들은 만경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충적평야이다. 주요 들녘으로는 공덕면 저산리 저성마을 북쪽에 당뒤들, 저성마을...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만경군 북이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당제산 아래에 있었으므로 당제산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저성리·내포리 일부, 익산군 남이면 황천리 일부를 병합하여 저산리라 하고 김제군 공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공덕면 저산리가 되었다. 북쪽으로 만경강(萬頃江)이 흐...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만경군 동이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명천리·신평리·신성리·조령리·상방리·신흥리·관동리 일부, 북이도면 용전리 일부를 병합하여 제말리라 하고 김제군 공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공덕면 제말리가 되었다. 2009년 11일 30일 현재 총 148가구...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진주강씨가 해발 고도 30m 되는 이름 없는 야산에 조상들의 선영을 만들면서 조종산(祖宗山)이라 하였고, 마을이 조종산 아래에 있으므로 조종리(祖宗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연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조리·중조리·하조리, 마천면 중대리·목교리, 만경군 동이도면 조종리 일부를 병합하여 조종리라 하고 김...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조종리에 있는 산. 조종산(祖宗山)[52m]은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갈라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의 한 줄기이다. 모악기맥은 만경강과 동진강을 가르며 엄재, 국사봉, 화율봉, 장근재, 모악산, 유각치, 묘고산에 닿는다. 이곳에서 서쪽으로 구성산 줄기를 갈라놓고 북쪽으로 달리며 매봉·천잠산에 이르러 방향을 서...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에 있는 농경지.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에서 발원한 원평천(院坪川)이 봉남면과 부량면을 거쳐 죽산들을 지나 동진강(東津江)으로 유입되고 있다. 죽산들은 동진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다. 주요 들녘으로는 대창리에 고래들·구래속들, 신흥리에 높은들, 종신리에 대앙들·정상평, 홍산리에 시급평 등이 있다. 서해안고속국도와 국도 23호선이 남북 방향으로 죽산들을 지난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지각을 이루는 물질. 김제 지역은 백두대간과 금남정맥(錦南正脈), 호남정맥(湖南正脈), 영산기맥(榮山岐脈), 모악기맥(母岳岐脈) 등의 산줄기 때문에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지형을 이룬다. 동남부와 북서 해안에 산지가 형성되어 있고, 동진강(東津江)·원평천(院坪川)·만경강(萬頃江) 주변에 광대한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다. 동남부 산지는 중생대 쥐라기의 편마상...
-
전라북도 김제 지역 지표면의 기복 및 모양이나 형태.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이 동쪽으로 높고 험한 백두대간의 설악산(雪嶽山)·태백산(太白山)·소백산(小白山) 등이 동해 가까이 솟아 있어 하천의 흐름이 빠르고 길이가 짧은 반면, 서쪽은 흐름이 느리고 길이도 길다. 김제 지역 또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지형으로 동쪽은 대부분 호남정맥(湖南正脈)에서 갈라져 나온 모악기맥(母岳岐脈) 줄...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과 광활면에 있는 반도. 진봉반도는 김제평야와 호남정맥에서 갈려 나온 모악기맥이 끝나는 서해의 끝자락에 위치한 반도이다. 진봉반도는 위로는 만경강(萬頃江), 아래로는 동진강(東津江)에 둘러싸여 마치 날카로운 부리를 내민 새의 형상이다. 북부 진봉면은 올망졸망한 야산이 솟아 있고 남부 광활면은 지평선만 보이는 드넓은 평야이다. 광활면의 농경지는 일제강점기 때 바...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산. 진봉산(進鳳山)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헤어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모악기맥은 만경강(萬頃江)과 동진강(東津江)을 가르며 엄재, 국사봉, 화율봉, 장근재, 모악산, 유각치, 묘고산에 닿는다. 묘고산에서 서쪽으로 구성산(九城山) 줄기를...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낙양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불로리·중평리, 서도면 상리, 이북면 용은리·옥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청운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청운리가 되었다. 북쪽으로 김제시 용지면 부교리와 이웃하고, 남쪽으로 두월천(斗月川)...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 청운사 하소백련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 청운사 하소백련은 10여 년 전 충청남도 아산시 인취사의 혜님 승려에게서 백련 8주를 분양받아 재배하기 시작한 뒤 지속적인 증식을 통해 오늘날에 이르렀다. 하소백련지(蝦沼白蓮池)는 다랑이 논처럼 위에서부터 계단식으로 펼쳐져 있으며, 규모는 66,116㎡ 정도이다. 하소(蝦沼)는 연못이 새우[...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서 재배하고 있는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채소. 순채는 일제강점기에 김제 순동에서 대량 재배되었으나, 지금은 김제시 순동과 청하면에서 일부 키우고 있다. 예부터 산에서는 송이, 밭에서는 인삼, 물에서는 순채를 제1의 건강식으로 꼽았다. 순채는 무미, 무색, 투명한 우무질에 쌓여 있는 비단 띠 같은 금대(金帶)라는 풀이다. 순(蓴), 마...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 있는 농경지. 청하들의 북쪽으로 만경강(萬頃江)이 동에서 서류하여 공사중인 새만금간척지로 유입된다. 청하들은 만경강의 하구에 위치하고 있는 충적평야이다. 주요 들녘으로는 관상리와 월현리 사이에 나다리들, 중다리에 중다리들, 동지산리 남쪽에 방구지평, 장산리의 상월 서쪽에 문원평, 신금 북쪽에 신감사구래들, 장산 서쪽에 암소들, 장산 남쪽에 용당고라실, 동지...
-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행정구역. 청하산(靑蝦山)[50m]의 이름을 따서 청하(靑蝦)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북일도면 지역으로 장산리 등 18개 동리를 관할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만경군 북면 송상리·송중리·송하리 일부, 김제군 마천면 관상리 등 13개 동리, 동이도면 신기리 일부를 병합하여 청하면이라 하고 김제군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에 있는 산. 청하산(靑蝦山)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헤어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모악기맥은 만경강(萬頃江)과 동진강(東津江)을 가르며 엄재, 국사봉, 화율봉, 장근재, 모악산, 유각치, 묘고산에 닿는다. 묘고산에서 서쪽으로 구성산(九城山) 줄기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지표를 구성하는 암석이 풍화·분해되어 생성된 흙. 토양은 광물성 풍화 산물이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더욱 변화하여 이루어진 암석권의 표층을 말한다. 토양은 식물의 생장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불가결한 자연 자원으로 농업의 기반이 되므로 토양의 속성에 따라 작물을 선택하고 토양의 구조를 꾸준히 개량하여 지력(地力)을 높여 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토...
-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 팔효사에 있는 수령 약 535년의 보호수. 팔효사(八孝祠)는 나주나씨(羅州羅氏) 문중 삼대에 걸친 8명의 효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629년(인조 7) 창건되었으며,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으로 인하여 훼철되었다. 그 후 1965년에 중건되었다. 팔효사의 은행나무는 높이 16m, 가슴높이 둘레 3.65m이다. 가지가 12개로 갈라져 자라고 있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있는 산지와 산지 사이에 발달한 넓고 평탄한 지형. 평야는 충적 평야와 침식 평야로 나누어지고, 충적 평야는 하곡 충적 평야와 해안 충적 평야로 나누어진다. 전라도 서부에 펼쳐진 호남평야는 강 하구에서 중·하류로 갈수록 지대가 높아져, 만경강(萬頃江)과 동진강(東津江) 하류 및 하구 10~30m 이하 지역은 충적 평야가, 10~40m 사이 중류 지역은 침식 평...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산면에서 맨 아래의 서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하서리(下西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백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후남·궁지·전남·하말·정자·생견·신리 일부, 대촌면 수곡리 일부를 병합하여 하서리라 하고 김제군 백산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백산면 하서리...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금구군 서도면 하신리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일북면 학성리를 병합하여 하신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하신리가 되었다. 금구리의 서쪽에 자리 잡은 낮은 언덕 지형이다. 2009년 11월 30일 현재 총 119가구에 260명[남자 1...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하두악리의 ‘하’자와 정자리의 ‘정’자를 따서 하정리(下亭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김제군 백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불로리·하두악리·생건리·정자리·학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하정리라 하고 김제군 백산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백...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육지 표면의 자연 수계를 따라 물이 흘러 형성된 물길과 계류. 강과 하천이란 용어가 일부 혼용되어 쓰이지만 대체로 시내와 내[川], 강을 총칭하여 하천이라고 한다. 자연 현상이나 인위적인 작용에 의해 지구 표면에 만들어진 물의 흐름길이 바다로 이어지기까지를 하천이라고 정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에 강(江)이나 천(川)을 붙인다. 대체로 규모가 큰 하천 또는...
-
김제시를 포함하여 전라북도 서쪽에 있는 농경지. 백제시대부터 시행된 국가 단위의 수자원개발사업은 김제의 벽골제(碧骨堤), 정읍의 눌제(訥堤), 익산의 황등제(黃登堤) 등을 그 효시로 한다. 임실군 운암(雲岩)에는 운암댐이 조성되어 그 물이 호남평야의 남부를 관개하고, 만경강의 지류 고산천(高山川)의 상류에도 대아저수지가 축조되어 이 물이 호남평야 북부의 관개를 원활하게 한다. 더욱...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봉월리에 있는 산. 황산(凰山)은 봉황을 닮은 산의 형태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황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초당골[막은댐]을 지나 모악산기맥 분기점에서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까지 뻗어가는 호남정맥과 헤어져 북쪽으로 달리는 모악기맥이 뿌리이다. 모악기맥은 만경강(萬頃江)과 동진강(東津江)을 가르며 엄재, 국사봉, 화율봉, 장근재, 모악산, 유각치, 묘고산에 닿는...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만경군 동일도면에 속한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서리·외황리·두동리·내동리 일부, 김제군 백석면 상서리·하서리 일부를 병합하여 황산리라 하고 김제군 공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공덕면 황산리가 되었다. 황산과 와룡산이 솟아 있는 충적 평야 지역이다. 200...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지형이 용이 꿈틀거리는 형국이므로 회룡리(回龍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만경군 동이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덕산리·하방리·등용리·과동리·신기리 일부, 북이도면 지수리 일부, 북일도면 중성리 일부, 김제군 마천면 석한리·장천리 일부를 병합하여 회룡리라 하고 김제군 공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