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200442 |
---|---|
한자 | 地藏寺 阿彌陀佛圖 |
영어공식명칭 | Amitabha in Jijangsa |
이칭/별칭 | 호국지장사 아미타불탱,호국지장사 아미타불도,지장사 아미타불도,지장사 아미타불탱,화장사 아미타후불도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용윤 |
제작 시기/일시 | 1870년 - 「지장사 아미타불도」 제작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9년 5월 19일 - 「지장사 아미타불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4호 지정 |
현 소장처 | 호국지장사 대웅전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호국지장사 |
원소재지 | 화장사 대웅전 - 경기도 과천(果川) 관악산(冠岳山) 화장사(華藏寺) 대웅전(大雄殿) |
성격 | 불화 |
작가 | 원명(圓明) 긍우(肯祐)|경은(慶隱) 계윤(戒允)|편수(片手) 연우(蓮藕) 선근(先根) |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 호국지장사 |
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호국지장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4호 |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현충원 내 위치한 호국지장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아미타불도.
[개설]
「지장사 아미타불도」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이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불화로 가로 223.5㎝, 세로 138㎝의 삼베에 채색하였다.
[형태 및 구성]
「지장사 아미타불도」의 화면 중앙에는 아미타불이 솟아오른 연꽃 위에 결가부좌하였다. 권속은 3단으로 표현했는데 가장 아랫단 좌우에는 가섭존자(迦葉尊者)와 아난존자(阿難尊者)가 협시(脇侍)로 서 있으며 그 옆에는 사천왕(四天王)을 배치했다. 가운데 단에는 관음보살(觀音菩薩)과 세지보살(勢至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 문수보살(文殊菩薩), 보현보살(普賢菩薩), 준제보살(准提菩薩) 등 6보살을 표현했다. 윗단에는 가섭과 아난을 제외한 나머지 10대제자, 4명의 금강 등을 배치했다.
[특징]
「지장사 아미타불도」의 특징은 솟아오른 연화좌의 모습, 어딘가에 걸쳐앉은 사천왕의 자세 등이다. 이것은 19세기 경기도에서 유행한 특징 중 하나로 이후 봉은사의 석가모니후불도[1895년]에서도 확인된다. 또한 많은 등장인물을 표현했음에도 군더더기 없이 자연스러운 모습 역시 특징적이다. 녹색과 적색이 주조색을 이루고 있으며 청색과 육색, 흰색, 황색, 금니, 금박 등을 사용하였다.
[의의와 평가]
「지장사 아미타불도」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많은 권속이 등장하지만 등장인물의 자세나 모습 등에서 자연스러움이 느껴져 화사(畵師)의 역량을 보여준다. 또한 화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아미타불을 주불(主佛)로 모시는 극락전(極樂殿)이 아닌 대웅전(大雄殿)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한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