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사 > 신라황금-신비한 황금의 나라
-
대구광역시의 삼국시대 지배층 무덤에서 출토되는 손잡이 끝에 둥근 고리가 달린 긴 칼. 고리자루칼[환두대도(環頭大刀)]은 외날에 손잡이 끝에 둥근 고리를 가진 칼[도(刀)]로 원삼국시대에 한(漢)의 영향으로 만들어진다. 원삼국시대에는 고리 안에 아무런 장식(裝飾)이 없으며, 고리와 손잡이, 칼집의 일부를 금과 은으로 장식한 소환두대도(素環頭大刀)가 대부분이며, 삼국시대가 되면 고리...
-
대구광역시에 있는 고분에서 출토되는 삼국시대 금 귀걸이. 귀걸이는 현대에는 여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과거에는 신분이나 지위를 밖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남녀 지배층 모두가 착용하였다. 귀걸이를 장식하는 것들은 지위에 따라 차이가 보이며, 귀걸이 문화는 삼국이 동일한 특징을 공유하였다....
-
대구광역시의 지배층 무덤에서 출토되는 금동으로 만든 관. 관은 삼국시대에 만들어지기 시작하였고 신분을 나타내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관은 재질에 따라 금관, 금동관, 은관, 동관으로 나뉘며, 전형적인 신라의 관은 금관과 금동관이다. 금관은 경상북도 경주시 지역에서만 확인되며, 금동관은 금관보다 출토량이 많은 것으로 보아 귀족이나 지방의 수장(首長) 등 소유층이 넓은 것으로...
-
대구광역시에서 출토되는 삼국시대 신라의 금동으로 만든 관꾸미개. 삼국시대 대형 무덤에서는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가는 새 모양[조익형(鳥翼形)] 관장식과 나비 모양 관장식이 출토되고 있다. 대구광역시에서 출토되는 관장식은 대부분 새 모양 관장식이다. 이러한 관장식은 가운데를 세로로 접어 고깔 형태의 관모(冠帽)에 끼워 썼다. 신라의 관장식은 은제품이 가장 많이 만들어졌지만, 금이나...
-
대구광역시에 있는 대구 달성 고분군 37호분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금동관. 대구 달성 37호분 금동관은 대구 달성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동관 두 점을 가리킨다. 대구 달성 고분군은 지금의 대구광역시 서구의 비산동·내당동과 남구 대명동 일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었던 신라의 고분군이다. 5세기 중엽부터 6세기 전반까지 지금의 대구 지역를 중심으로 지역을 장악하였던 최상층 집단이 축조한 고...
-
대구광역시에서 확인되는 선사시대 이래 목과 가슴을 장식하였던 장신구. 목걸이[경식(頸飾)]는 신석기시대부터 목과 가슴을 장식하였던 장신구로 사용되었다. 장신구는 소유한 사람의 사회적 지위나 역할을 나타내기도 하고, 선사시대에는 원시 신앙의 의례적인 도구 혹은 자연의 위협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려는 벽사(辟邪)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 신석기시대에는 뼈나 뿔, 동물의 이빨, 조가비나...
-
대구 지역에서 출토되는 삼국시대 신라의 은으로 만든 관장식. 대구 지역의 삼국시대 대형 무덤에서는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가는 새모양[조익형(鳥翼形)] 관장식과 나비모양[접형(蝶形)] 관장식이 출토되고 있다. 새 날개 모양은 옆으로 날개를 활짝 펼친 형태가 오래된 것이며, 이후 날개의 끝이 안으로 오므라들어 위로 솟구친 형태로 변화하였다. 새모양 관장식 중에는 날개 장식을 붙이지 않...
-
대구 지역 무덤에서 출토되는 삼국시대 허리띠와 허리띠 장식. 허리띠[과대(銙帶)·대금구(帶金具)]는 버클에 해당하는 띠고리[교구(鉸具)], 가죽 또는 비단 허리띠의 겉면을 꾸미는 띠꾸미개[과판(銙板)], 허리띠에 매달아 드리우는 드리개[요패(腰佩)], 허리띠 끝에 다는 띠끝꾸미개[대단금구(帶端金具)]로 구성되어 있다. 재질은 금, 금동, 은, 동제품이 있다. 드리개는 향낭, 약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