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지역의 방언에서 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구개음으로 바뀌는 음운현상. 대구 방언에서 구개음화(口蓋音化)는 'ㅣ' 모음이나 반모음 'j' 앞에서 'ㄷ, ㅌ'이 'ㅈ, ㅊ'으로, 'ㄱ'이 'ㅈ'으로, 'ㅎ'이 'ㅅ'으로 바뀌는 형태로 나타난다. 발음될 때 관여하는 조음기관의 거리가 먼 두 음이 조음되면 전설면과 경구개 사이가 좁아져서 자음이 구개음으로 바뀐다. 동화의 한 종류인 구개...
-
대구 지역 방언에서 이중모음이 단모음으로 바뀌는 현상. 단모음화는 대구 방언에서 이중모음 'ㅖ, ㅕ, ㅑ, ㅛ, ㅘ, ㅝ, ㅙ, ㅢ, ㅚ, ㅟ'가 단모음인 'ㅐ, ㅏ, ㅓ, ㅗ, ㅐ, ㅣ'로 바뀌는 현상이다. '홑홀소리되기'라고도 한다. 대구 방언에서는, 단모음 'ㅚ, ㅟ'가 이중모음 [wi]나 단모음 'ㅣ'로 실현되고 하향이중모음인 'ㅢ'도 단모음 'ㅣ'로 발음된다. 반모음이 단...
-
대구 방언에서 단어의 첫 자음인 예사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는 현상. 어두경음화는 대구 방언에서 어두에 ㄱ, ㄷ,ㅂ, ㅅ, ㅈ과 같이 대응하는 된소리를 가진 예사소리가 오면 된소리로 실현되는 현상이다. 대체로 경음화는 청각적인 인상을 좀 더 뚜렷하게 하기 위하여 일으키는 현상이다. 어두자음의 경음화는 선행 음절과 음운 결합으로 일어나는 일반적인 경음화와 달리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
대구 지역어에서 어간에 붙어 두 문장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어미. 연결어미는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만들 때 선행절에 붙어 후행절과 연결지어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거나 본용언에 보조용언을 이어 주는 어미를 이르는 것이다. 대등적연결어미, 종속적연결어미, 보조적연결어미가 있다. 두 절을 이어 주는 방식에 따라 대등적연결어미와 종속적연결어미가 있는데, '-고', '-지만', '-든지'...
-
선행 음절의 후설모음 'ㅓ, ㅏ, ㅗ, ㅜ, ㅡ'가 후행 음절의 전설모음 'ㅣ'에 의하여 전설모음 'ㅔ, ㅐ, ㅚ, ㅟ, ㅣ'로 동화되는 음운 현상. 이모음역행동화는 대구 방언에서 후행하는 음절의 전설모음 'ㅣ'에 의하여 선행 음절의 모음 'ㅓ, ㅏ, ㅗ, ㅜ, ㅡ'가 'ㅔ, ㅐ, ㅚ, ㅟ, ㅣ'로 바뀌는 음운 현상을 가리킨다. 이모음역행동화를 '움라우트(umlaut)'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