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 있는 고려 말에 간행된 『화엄경』의 사경본.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는 고려 말에 간행된 감지금니변상도가 있는 80권본 『화엄경』 주본(周本) 권22인 23품 「승도솔천궁품(昇兜率天宮品)」의 사경 1첩 10장으로, 보물급이지만 훼손이 심하여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0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에 있는 고려시대 불경. 여상도가 소유하고 있는 『감지금은니문수최상승무생계법』 1첩으로, 일명 『묘덕계첩(妙德戒牒)』이라 한다. 인도의 승려 지공(指空)[1300~1363]이 고려에 와서 우바이(優婆夷) 묘덕에게 남색 종이에 은 글씨로 써서 준 계첩이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8호로 지정되었다....
-
고려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호는 석천(石川). 아버지는 밀직부사 예부 상서(密直副使禮部尙書)를 지낸 곽돈효(郭敦孝)이며, 어머니는 고려 후기 밀직부사 대사헌 첨의평리(密直副使大司憲僉議平理)를 지낸 조운경(趙雲卿)의 딸 풍양 조씨(豊壤趙氏)이다. 아들은 곽충관(郭忠貫)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판도판서 대중대부 상서좌성(版圖判書大中大夫尙書左丞)을 역임하였다. 손자...
-
고려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고조할아버지는 곽원진(郭元振)으로 성균 제주 진현관 제학(成均祭酒進賢館提學)을 지냈으며, 증조할아버지 곽충관(郭忠貫)은 상서좌성(尙書左丞)을 역임하였다. 할아버지는 곽부(郭郛)로 포산군(苞山君)에 봉하여졌다. 아버지는 전공 판서(典工判書)를 지낸 곽거인(郭居仁)이다. 외할아버지는 감찰대부(監察大夫) 박덕룡(朴德龍)이며, 장인은 사...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효자. 김한(金閑)은 고려 때 대구 해안[현 대구광역시 동구 해안동]에 살았다는 기록만 있고, 가계와 후손은 알 수 없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 동대사에 있는 고려시대 불경. 대구 동대사 고려불경 일괄(大邱東大寺高麗佛經一括)은 동대사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4축의 두루마리형 불경으로 주요 제작 시기는 1000~1200년대 사이이다.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권43은 1000~1100년대 제작되었고,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는 1100~1200년대 간행되었으며, 『불설치성광대위덕금륜왕소재길...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후기의 불교 경전 대장일람집(大藏一覽集)은 송나라의 승려 진실(陳實)이 대장경의 중요한 정수만을 가려서 집대성한 일종의 사전이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본 대장일람집은 판식이나 서체가 13세기 중반에 유행한 고려본과 같아 고려 초인 13세기 중엽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문관. 도길부(都吉敷)[?~1388]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산군(星山君) 도유덕(都有德)이고, 할아버지는 판관 도효안(都孝安)이다. 아버지는 문화찬성사 도홍정(都洪正)이며, 아들은 찬성사를 지낸 도응(都膺)이다. 첫 번째 부인은 지방어사 차종노(車宗老)의 딸 연안차씨(延安車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부만호 권가봉(權可封)의 딸 안동권씨(...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충신. 도응(都膺)[?~?]은 고려에 대한 충절로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한 72현 중의 한 사람이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李成桂)의 죽마고우였다고 한다....
-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되어 있는 고려 후기 문인인 최해가 편찬한 시문집. 1338년에 졸재(拙齋) 최해(崔瀣)[1288~1340]가 신라부터 고려까지 우리나라 시문집 가운데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만을 모아서 편찬한 시문선집(詩文選集)이다. 동인지문사육(東人之文四六) 권7~9(2001)은 이후 1355년에 복주와 진주에서 개판되었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본...
-
13세기 몽고가 고려를 침략한 전쟁. 1225년[고종 13]에 고려에서 무례한 행동을 하던 몽고 사신 저고여(著古與) 일행이 귀국 도중 압록강 가에서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몽고는 이 사건을 구실로 삼아 1231년 살례탑(撒禮塔) 부대를 보내 고려를 침략하였으나, 귀주성(龜州城)에서 박서(朴犀) 부대의 항전 등 고려 군민의 저항을 받아 1232년 강화를 맺고 돌아갔다. 고려에...
-
고려 후기 달성유가사의 주지를 역임한 승려. 속성은 김씨(金氏). 처음의 법명은 자안(子安)이며 후에 미수(彌授)로 바꾸었다. 아버지는 김한제(金漢磾)로 봉순대부(奉順大夫) 전객령(典客令)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어머니는 문공진(文公進)의 딸로 화의군부인(和義郡夫人)으로 추봉되었다....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무관. 배정지(裵廷芝)[1259~1322]의 본관은 대구(大邱)이며, 자는 서한(瑞漢), 호는 금헌(琴軒)이다. 어릴 적 이름은 배공윤(裵公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배손적(裵孫迪)이고, 할아버지는 배인검(裵仁儉)이다. 아버지는 민부전서(民部典書)를 지낸 배영(裵瑩)이고, 부인은 낭장 정승백(鄭承伯)의 딸이다. 아들은 배성경(裵成慶)·배천경(裵天慶)·배함경(裵...
-
고려 후기 달성 출신의 무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서한(瑞漢), 호는 금헌(琴軒). 증조할아버지는 대호군(大護軍)으로 추증된 배손적(裵孫迪)이며, 할아버지는 응양군 상호군(鷹揚軍上護軍)으로 추증된 배인검(裵仁儉)이다. 아버지는 민부전서(民部典書)에 추증된 배영(裵瑩)이고, 어머니는 우계군부인 이씨(羽溪郡夫人李氏)로 내시 양온령동정(內侍良醞令同正)을 지낸 이신송(李臣松)의 딸...
-
고려 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출신 무신. 배정지는 재물과 이익을 탐하지 않았다고 하며, 집에는 열 냥도 없을 정도로 청렴하였으며, 글씨를 잘 썼다고 한다....
-
고려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태원(太元). 고조할아버지는 대호군(大護軍)으로 추증된 배손적(裵孫迪)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응양군 상호군(鷹揚軍上護軍)으로 추증된 배인검(裵仁儉)이다. 할아버지는 민부전서(民部典書)에 추증된 배영(裵瑩)이다. 아버지는 밀직부사 상호군(密直副使上護軍)을 지낸 배정지(裵廷芝)이며, 어머니는 낭장(郎將) 정승백(鄭承伯)의 딸이다....
-
고려 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출신 문신으로 달성배씨의 시조. 배천경(裵天慶)의 할아버지는 통헌대부(通憲大夫) 민부전서(民部典書) 배영(裵瑩)이며, 할머니는 우계군부인(羽溪郡夫人)으로 내시 양온령동정(良醞令同正) 이신송(李臣松)의 딸이다. 아버지는 원종의 호종신(扈從臣)인 밀직부사(密直副使) 배정지(裵廷芝)며, 어머니는 낭장(郎將) 정승백(鄭承伯)의 딸이다. 큰 형 배성경(裵成慶)은...
-
고려 후기 대구 지역에 은거한 문관. 백인관(白仁寬)[1341~1421]의 본관은 수원(水原)이며, 자는 사달(士達), 호는 선정(禪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부시랑 백원태(白元泰)이고, 할아버지는 평장사 백천뢰(白天賚)이다. 아버지는 상장군을 지낸 백존유(白存儒)이다. 부인은 옥산장씨((玉山張氏)이다....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경북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후기의 불교 경전. 백지은니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白紙銀泥大佛頂如來密因脩證了義諸菩薩菩薩萬行首楞嚴經 卷十)은 성산(星山)의 전 직강(直講)인 1356년(공민왕 5)에 돌아가신 어머니 이씨(李氏)를 위하여 만든 명복경(冥福經)으로 삼베로 만든 종이에 은으로 쓴 것으로 능엄경 10권 가운데 마지막 권이...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에 있는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하여 판각한 우리나라 최초의 대장경판이 보관되었던 사찰. 부인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부인사(符印寺) 또는 부인사(夫人寺)라고도 일컬어진다. 부인사지(符仁寺址)는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어 있다. 부인사 관련 자료집으로는 『부인사의 역사와 문화』가 있다....
-
고려 후기 달성 지역에서 은거한 수성 빈씨의 시조. 본관은 수성(壽城). 자는 대용(大用), 호는 송헌(松軒). 부인은 판도판서(版圖判書) 이실(李實)의 딸인 진보 이씨(眞寶李氏)이며, 아들은 빈규창(賓珪昌)이다....
-
고려 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묻힌 수성빈씨 시조. 빈우광(賓于光)의 호는 송헌(松軒)이다. 빈씨(賓氏)는 본래 중국 성씨인데, 고려로 귀화하였다....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문관. 서균형(徐鈞衡)[1340~1391]의 본관은 달성(達城)이며, 자는 상경(商卿), 호는 학암(鶴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도판서 서진(徐晉)이고, 할아버지는 좌랑 서기준(徐奇俊)이다. 아버지는 찬성사 서영(徐穎)이고, 어머니는 이영유(李永儒)의 딸 영천이씨(永川李氏)이다....
-
고려 후기 달성 출신의 문관.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상경(商卿), 호는 학암(鶴巖). 증조할아버지는 달성군 판도판서(達城君版圖判書) 서진(徐晉)이고, 할아버지는 좌랑(佐郞) 서기준(徐奇俊)이다. 아버지는 찬성사(贊成事) 서영(徐穎)이며, 어머니는 승동정(承同正) 이영유(李永儒)의 딸이다. 부인은 김원명(金遠鳴)의 딸이다. 아들은 전의소감(典醫少監)을 지낸 서침(徐沈)이다....
-
고려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호는 노남(櫓南). 할아버지는 달성군 판도판서(達城君版圖判書) 서진(徐晉)이고 아버지는 좌랑(佐郞) 서기준(徐奇俊)이다. 부인은 승동정(承同正) 이영유(李永儒)의 딸 영천 이씨(永川李氏)이다. 아들은 문하부사(門下府事) 서균형(徐鈞衡)이며, 손자는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와 전의소감(典醫少監)을 지낸 서침(徐沈)이다....
-
고려 후기 경상도 성주목 화원현 출신의 열녀. 본관은 진양(晉陽). 아버지는 고려 때 상서(尙書)를 지낸 강유곤(姜裕昆)이다....
-
고려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윤 호장(中尹戶長)을 지낸 창녕 성씨(昌寧成氏) 시조 성인보(成仁輔)의 현손이다....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1376년에 간행한 불교 참법서.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 권7은 여러 가지 지은 악업을 아미타불(阿彌陀佛)에게 참회하는 법회 절차를 수록한 참법서이다. 원나라 승려 왕자성(王子成)이 편찬한 것을 고려 승려 혜랑(慧朗)이 1376년에 전 10권 3책으로 간행하였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본은 권7-10의 1...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용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절터. 용리 금수암(金水庵) 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용리 산1번지에 있는 절터이다. 소재사(消災寺)에서 임도를 따라 오르면 청소년 야영장이 나타나고, 이곳에서 북쪽으로 400m쯤 가면 용리 염불암(念佛庵) 터가 나오는데 여기서 다시 임도를 따라 1.5㎞ 동쪽을 향해 오르다 보면 임도가 끝나는 지점에 용리 금수암 터 안내판이...
-
고려 후기 무신으로 하빈 이씨 시조. 본관은 하빈(河濱). 자는 거옥(居玉)....
-
고려 후기 대구의 팔공산을 찾아와 제문을 지은 문관. 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본관은 여주(驪州)이며,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이다. 어릴 적 이름은 이인저(李仁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은백(李殷伯)이고, 할아버지는 이화(李和)이다. 아버지는 호부시랑을 지낸 이윤수(李允綏)이고, 아들은 이관(李灌)·이함(李涵)이다....
-
고려 후기 달성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회연(晦然), 호는 목암(睦庵). 첫 법명은 견명(見明), 이후 법명은 일연(一然). 아버지는 경주의 속현이던 장산군(章山郡)[현재 경상북도 경산시]의 향리를 지낸 김언정(金彦鼎)이다....
-
고려 후기 현풍 감무를 지낸 문신. 전평원(田平遠)은 1390년(공양왕 2) 현풍현의 감무(監務)에 임명되어 백성을 교화하고 풍속을 바로잡았으며, 읍내에 객사와 정자를 새로 건축하였다. 1392년(태조 1) 양산 군수로 부임하여 1381년(우왕 14) 왜구의 침입으로 폐허가 된 양산 읍성을 복구하였으며, 양산군 관내에 있었던 벽계루(碧溪樓)를 재건하여 쌍벽루(雙碧樓)라 개칭하였다....
-
대구광역시 동구 출신의 고려시대 효자. 조희삼은 1382년(우왕 8)에 모친을 데리고 왜적을 피해 달아나다가, 경산부(京山府) 가리현(加里縣)에 이르러 강물이 불어나 건널 수 없었다. 이때 어머니가 “나는 늙고 병들었으니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 너는 빨리 달아나 피해라.”라고 하자, 조희삼은 “어머니를 두고 혼자 어떻게 가겠습니까.”라고 하였다. 그리고 서둘러 어머니와 밭 사이...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효자. 조희참(曹希參)[?~1382]은 대구 수성(壽城)[현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람이다. 벼슬이 군기시소윤(軍器寺少尹)에 이르렀다. 1382년(우왕 8)에 왜구가 침입하자 어머니를 모시고 피난을 하였는데, 경산부(京山府)[현 경상북도 성주군]로 향하던 중 가리현(加里縣)[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에 이르자 강물이 불어나 강을 건너지 못하고 왜구에게 붙잡히게...
-
고려시대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서 활동한 승려. 보조국사 지눌의 성은 정씨(鄭氏)이고, 자호는 목우자(牧牛子)이며, 법명은 지눌이고, 시호는 보조국사이다. 지눌은 황해도 서흥(瑞興) 출신으로 아버지는 국학(國學)의 학정(學正)을 지낸 정광우(鄭光遇)이고, 어머니는 개흥군(開興郡) 출신의 조씨(趙氏)이다....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문관. 채귀하(蔡貴河)[?~?]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청일(淸一), 호는 다의당(多義堂)이다. 아버지는 형부상서 채원길(蔡元吉)이고, 어머니는 개성고씨(開城高氏)이다....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효자. 채순(蔡順)[?~?]은 수성현(壽城縣)[현 대구광역시 수성구] 에서 태어났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채순은 대구 수성 사람이다. 어머니가 돌아가셨으나 아버지가 계셨기 때문에 무덤을 지킬 수 없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시묘(侍墓)를 하였고 어머니의 묘를 아버지 묘 곁으로 옮기고 조석(朝夕)으로 상식(上食)을 올리기를 6년 동안 하...
-
고려 후기 추계 추씨달성 입향조. 본관은 추계(秋溪). 자는 관중(慣中), 호는 노당(露堂). 할아버지 추엽(秋饁)은 남송(南宋) 사람으로 고려인종(仁宗) 때 가솔을 이끌고 고려에 귀화하여 함흥 연화도(蓮花島)에 정착하여 한국추계 추씨(秋溪秋氏)의 시조가 되었다. 아버지는 추황(秋篁)으로 예문관 대제학을 거쳐 문하시중을 지냈다....
-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효자. 하광신(夏光臣)[?~?]의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대장군 하치운(夏致雲)이고, 할아버지는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진 하용(夏溶)이다. 아버지는 문하찬성 하일영(夏日映)이다. 아들은 하득주(夏得柱)·하석주(夏石柱)이다....
-
고려 후기 달성유가사의 주지를 역임한 유가종(瑜伽宗) 승려. 속성은 강씨(康氏), 법호는 보자(普慈). 아버지는 내원승(內園丞) 직한림원(直翰林院)을 지낸 강자원(康子元)이고, 어머니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호부시랑(戶部侍郞) 충사관(充史館) 수찬관(修撰官)을 지낸 홍인연(洪仁衍)의 딸이다....
-
고려 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위치한 동화사에서 주지로 활동한 고승. 혜영의 성은 강씨(姜氏)로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출신이다. 아버지는 내원승(內園丞)을 지낸 강자원(姜子元)이고, 어머니는 홍씨(洪氏)로 홍인연(洪仁衍)의 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