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상여 앞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709
한자 喪輿 -
영어공식명칭 a funeral song
이칭/별칭 「상엿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1년 - 「상여 앞소리」 정수달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 「상여 앞소리」『내 고장 전통 가꾸기』에 수록
채록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가창권역 전국
성격 민요|의식요
기능 구분 장례 의식요
가창자/시연자 정수달[남, 1925년 생]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서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의식요.

[개설]

「상여 앞소리」는 장례 절차 중에서 장지(葬地)까지 상여를 메고 갈 때 상두꾼이 메기는 사설을 일컫는 장례 의식요이다. 이를 「상엿소리」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1981년 달성군에서 간행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에 실려 있다. 이는 1981년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서 정수달[남, 당시 56세]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상여 앞소리」는 네 마디의 형식을 기본으로 한다. 특히 조흥구의 반복이 많은 「상여 앞소리」는 '으흥으흥 어하넘차 으흥흥'의 구절을 시작으로 인생의 무상함에 대해 서술한다. 이 외에 '병풍에다 걸린 닭이 홰를 치면 돌아오나', '큰 솥에 안친 쌀이 싹이 트면 오실런가' 등의 사설을 통해 한 번 죽은 사람은 다시 살아올 수 없음을 보여 주기도 한다.

[내용]

으흥으흥 어하넘차 으흥흥/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어하넘차 으흥흥/ [중략] 병풍에다 걸린 닭이 어하넘차 으흥흥/ 으흥으흥 어하넘차 으흥흥/ 홰를 치면 돌아오나 어하넘차 으흥흥/ [중략] 뒷동산에 고목나무 어하넘차 으흥흥/ 으흥으흥 어하넘차 으흥흥/ 꽃이 피면 오실런가 어하넘차 으흥흥/ [중략] 뛰잔듸기 옷을 삼고 어하넘차 으흥흥/ 으흥으흥 어하넘차 으흥흥/ 솔이 솔을 벗을 삼자 어하넘차 으흥흥/ 으흥으흥 어하넘차 으흥흥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상여 앞소리」는 상여를 옮기면서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망인을 기억하며 감성을 자극하기도 하지만, 상여꾼들의 발을 맞추어 이동하기 쉽게 박자를 맞추는 역할도 한다.

[현황]

최근에는 화장(火葬)을 선호하는 등 장례 의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게다가 운구차로 장지까지 직접 주검을 운반하는 까닭에 상여꾼이 상여를 메고 부르던 「상여 앞소리」의 전승도 점차 사라져 가는 추세이다.

[의의와 평가]

전국에서 불렸던 「상여 앞소리」는 대개 이승에 대한 미련과 인생무상을 노래하고 후손들에 대한 당부,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등 망자를 떠나보내는 보편적인 내용이 노랫말을 이루고 있다. 「상여 앞소리」는 시신을 상여 위에 싣고 묘소까지 운구할 때, 망자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한 조흥구에서부터 인생의 허무함을 담는 등 장례 의식요의 면모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