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남정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908
한자 道南精舍
이칭/별칭 추원재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솟골길 207[국우동 415]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도성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99년연표보기 - 도남정사 건립
현 소재지 도남정사 - 대구광역시 북구 솟골길 207[국우동 415]지도보기
성격 재사
양식 목조 와가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전주최씨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에 있는 최치상을 추모하는 개항기 재사.

[개설]

도남정사는 조선 후기 제선공가감역(除繕工假監役)을 지낸 성균진사(成均進士) 최치상(崔致翔)[1831~1886]을 추모하기 위하여 1899년(고종 39)에 지은 재사이다. 별칭으로 ‘추원재(追遠齋)’라고도 불리는 도남정사는 최치상의 손자인 최해윤(崔海潤)이 지었다. 최해윤은 1924년 5월 김창숙(金昌淑)의 독립운동 자금 모집 활동을 돕고 있던 손후익(孫厚翼)을 만나 임시정부의 활동 자금을 제공하였다. 1926년 1월에는 경상북도 유림단(儒林團)에 참가하여 군자금 모집 활동을 벌이던 이동흠(李棟欽)에게 군자금을 제공하는 등 김창숙과 곽종석(郭鍾錫)이 추진한 유림의 독립운동 자금 모집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도남정사는 1988년까지만 하여도 최해윤의 4남 중 둘째인 소설가이자 독립지사였던 추운(追雲) 최고(崔杲)[1924~1988]가 살았다. 대구 서구 원대동에서 태어난 최고는 왜관에서 초등학교를 마치고 서울의 명문 경복중학교를 다니던 중, 반일 지하단체 흑백당(黑白黨)에 가입하였다. 만주에서 친일파와 일본 고관을 처단하는 활동을 하던 중 일경에 체포, 징역 5년을 선고받고 대전형무소에서 수감 중 해방이 되어 풀려났다. 그 뒤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를 졸업하고 한영고등학교 영어 교사로 근무하였다. 1964년 대구로 내려와 대구중·대구상고에서 교편생활을 하였으며 1988년 교통사고로 운명하고 국립신암선열공원에 안장되었다. 2020년 11월 현재 도남정사는 폐가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위치]

도남정사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415에 있다.

[변천]

도남정사는 1899년 최치상의 추모 재실이며, 손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최해윤이 지었고, 최해윤의 아들이자 독립유공자인 최고가 살았으나 지금은 폐가 상태로 방치되어있다.

[형태]

도남정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목조 와가 형태이다.

[현황]

도남정사는 진사 최치상의 재사이나 2020년 11월 현재 폐가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도남정사의 설립자 최해윤최해윤의 아들 최고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최고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부자 모두 독립운동가로 활동하고 거주한 도남정사의 붕괴를 막고 보존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한 상황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