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469
한자 東川洞
영어공식명칭 Dongcheon-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경상북도 칠곡군 동천동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북도 칠곡군 동천동에서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동천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1년 -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동천동에서 대구직할시 북구 동천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대구직할시 북구 동천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1.12㎢
가구수 10,663세대
인구[남/여] 28,690명[남자 13,959명|여자 14,731명]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동천동(東川洞)은 대구광역시 북구 법정동 31개 중 하나이다.

자연 마을로는 들말[들마을, 들마], 천서마을이 있다. 들말은 팔거천 일대 들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마을을 일컫는다. 원래 팔거면에 속하였던 천서마을은 퇴천면 지역과 합하여 동천동이 되었다. 천서마을은 ‘천서동’, ‘천서리’로도 불린다.

[명칭 유래]

대천(大川), 즉 팔거천(八莒川)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동천동’ 명칭이 유래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칠곡군 퇴천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동대동, 구명동, 구천동, 횡동, 운암동 일부와 팔거면 천서동 일부를 합쳐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동천동으로 개설하였다. 1981년 대구의 직할시 승격으로 대구직할시 북구에 편입되어 대구직할시 북구 동천동이 되었다. 1995년 행정구역 명칭 변경으로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이 되었다. 동천동은 법정동과 행정동이 동일하다.

[자연환경]

동천동은 중생대 백악기 하양층군의 칠곡층[이암, 셰일, 사암 등으로 구성]과 신라역암으로 이루어진 도덕산[660m]-함지산[284.4m] 능선과 백악기 신동층군의 진주층[이암, 셰일, 사암, 역암 등으로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령산[521,2m]-태복산[194.2m] 능선으로 둘러싸인 칠곡분지에 위치한다. 서쪽에는 칠곡분지를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팔거천이 있고, 팔거천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비옥한 충적토가 있다.

[현황]

동천동의 면적은 1.12㎢이며, 인구는 2021년 9월 30일 현재 총 1만 663가구에 2만 8690명[남자 1만 3959명, 여자 1만 4731명, 외국인 제외]이다. 북구 읍내동·학정동·국우동·구암동 등지와 경계를 이룬다. 동서로 동암로와 대천로가, 남북으로는 동천로가 통과한다. 서쪽은 팔거천동로대구도시철도 3호선[칠곡운암역, 동천역, 팔거역]이 통과하고, 북쪽은 구리로, 동쪽은 학정로, 남쪽은 구암로가 통과하고 있어 접근성이 좋다.

주요 공공시설로는 대구북부초등학교, 대구동평초등학교, 대구함지초등학교, 선우직업전문학교, 농산물관리원 경북지원, 동북지방통계청, 대구보건대학교병원 등이 있다. 1990년대 중·후반 칠곡택지개발사업으로 많은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일대의 경관이 크게 바뀌었다. 동천동 361-2, 380 일대 팔거천 유역의 충적평야에서 청동기시대 주거 유적이 대거 발굴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