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2666
한자 早洞里大毛川洞告祀
영어의미역 Communal Village Ritual for the Jodong-ri Daemocheon Village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대모천마을
집필자 어경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신앙|마을제사
의례시기/일시 음력 7월 15일 이전 경일 저녁 8~9시[산신제]|음력 정월 14일 자시[수살제]
의례장소 조동리 대모천마을 방아작골 동북쪽 산기슭 바위너설|조동리 대모천마을 입구
신당/신체 산제단|수구맥이 느티나무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대모천마을에서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연원 및 변천]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대모천마을은 관암(갓바위)마을 앞, 탑들삼거리에서 산척 방면으로 충북선 굴다리를 지나 1㎞쯤 가다가 오른쪽 골짜기에 형성된 마을이다. 이 마을에서는 오래전부터 매년 음력 7월 보름 이전 경일(庚日)에 산신제를 지내고, 음력 정월 14일에 수살제를 지내오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조동리 대모천마을의 산제당은 윗말에서 더 올라가 인등산(人登山) 입구, 방아작골의 동북쪽 산기슭 바위너설 아래에 계단식으로 제단을 마련해놓았다. 수살제를 지내는 수구맥이는 마을 입구 충북선 철길 건너 도랑가, 앞산 줄기가 뻗어 내려오다가 끝나는 곳에 야트막한 바위 절벽이 있고, 그 주위에 여러 그루의 느티나무가 서 있다. 그 중 가장 큰 느티나무 밑에 돌제단을 만들고 주위에 금줄을 쳐서 신성한 곳임을 표시하고 있다.

[절차]

산신제의 제일은 음력 7월 15일 이전 경일, 해질녘에 산제당에 올라가 8~9시에 지낸다. 인등산신을 모신다고 한다. 제관과 축관은 연장자 중에서 생기복덕을 가려서 5명을 선출한다. 제관과 축관은 3일 전부터 각종 금기 사항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대문에 금줄을 쳐서 부정한 것이 범접하지 못하도록 정성을 다한다. 산제당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고 주변에 금줄을 친다. 제수 비용은 마을 기금으로 충당한다.

제물은 돼지머리, 메, 삼색 실과, 통북어, 제주(막걸리)를 준비한다. 제일이 되면 제관은 회관에 보관되어 있던 제기를 정성껏 깨끗이 닦아놓는다. 제관과 축관은 해질녘에 준비한 제물을 경운기에 싣고 산제당에 올라가 진설을 한다. 제의는 유교식 절차에 따라 지낸다. 축문을 읽고 대동소지와 세대주 소지를 올린다. 간단히 음복을 하고 내려온다. 제물은 제관 집에 보관하였다가 다음날 아침에 동민 전체가 모여 음복을 한다.

수살제는 음력 정월 14일로 정해져 있으며 저녁 10시경에 제당에 가서 제물을 진설하고 자시에 지낸다. 제의 절차와 제관 선정은 산신제와 같다. 제수 비용은 마을 공동 기금으로 충당하는데, 제물은 백설기(1되 3홉), 통포(2마리), 삼색 실과, 제주(祭酒, 막걸리)를 올린다. 축문을 읽고 난 후 소지를 올리는데 순서가 특이하다. 대동소지-우마소지-상노인소지-개인소지 순으로 올린다. 상노인 소지를 따로 올리는 것은 마을 어른에 대한 공경과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의미라고 한다. 또 개인소지는 인등산에서 가까운 윗집부터 순서대로 올린다고 한다. 다음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음복을 한다.

[축문]

산신제 축문은 다음과 같다.

유세차 간지 칠월 간지삭 모일 간지 유학 ○○○ 감소고우 인등산신지위 전일복이 기원애상 기기청숙 진아일동 촌민강길 실뢰신체 복사유예 수춘전향 금당택일 일길진양 일동제숙 성공가일 지성건도 신기감응 강복무량 일동강길 오곡풍등 육축번성 병자이소 우자이락 도적불침 맹표원적 사농공상 각득기업 신기보우 소원성취 근이청작 영존궐기 상향“維歲次干支七月干支朔某日干支幼學○○○敢昭告于人登山神之位前日伏以其願哀傷其祈淸淑盡我一同村民康吉實賴神體福사유예秀春奠享今當擇日日吉辰良一同齊淑誠共加一至誠建道神旣感應降福無量一同康吉五穀豐登六畜繁盛病者以蘇 憂者以樂盜賊不侵猛豹遠跡士農工商各得其業神其保佑所願成就謹以淸酌靈尊궐기尙饗”.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