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열녀. 본관은 원주(原州). 효자 박효인(朴孝仁)의 처(妻)이다. 박효인은 조선 중기의 효자로 본관은 상산(常山). 자는 자실(自實)이며, 정숙공(貞肅公) 박안신(朴安信)의 후손이다. 천성이 효성스러워 시아버지와 시어머니의 병환이 낮기를 밤낮으로 하늘에 기도했으며, 겨울에 붉은 대추를 얻는 이상한 일도 있었다고 한다. 박효인과 박효인의 처...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열녀. 본관은 문화(文化). 남편은 송순(宋淳)이다. 송순 처 문화유씨는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남편을 청나라 병사에게 잃고 혼자 몸이 되었을 때 네 살 난 아들을 몸종에게 맡기면서 가문의 혈통을 잇도록 부탁하고 절벽에서 몸을 던져 절사했다. 송순 처 문화유씨의 정절과 부덕이 조정에 알려져 1640년(인조 18)에...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열녀. 본관 전주(全州). 광평대군의 후손으로 남편은 심필정(沈弼鼎)이다. 심필정의 처 전주이씨는 18세에 심필정과 혼인한 이후 시부모를 지극한 정성으로 봉양하고 남편에게도 지극 정성을 다했다. 남편이 홍역으로 위독해지자 목욕재계하고 남편의 쾌유를 기원했으나 끝내 남편이 죽고 말았다. 슬픔에 복받쳐 식음을 전폐하면서 죽으려 했으나 주변의...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효자.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덕호(德浩). 원산군 원황(元滉)의 후손이다. 원덕상은 부모를 봉양함에 효로써 다하고 집안을 다스림에는 법도가 있었으며 형제 간에는 우애가 깊었다. 또한 아들 원용준(元容濬)도 효성이 깊어 주위에서 부자에 대한 칭송이 자자했다. 원덕상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효자각이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효자.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상지(常之). 학암(鶴巖) 유몽정(柳夢鼎)의 후손이다. 효우(孝友)의 근본이 하늘에 있는 것이니 부모가 하는 일이면 비록 어려운 일 일지라도 기어코 했으며, 싫어하는 일이면 비록 조그마한 일이라도 하지 않았다. 아버지가 병을 얻으니 산신령에게 기도를 드리고 대변을 맛보아 가며 4개월 동안 지성으로 간호했다. 그래도...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효부. 본관 풍산(豊山). 아버지는 성균관전적을 지낸 홍봉상(洪鳳祥)이며, 남편은 사헌부장령을 지낸 이유양(李有養)이고, 아들은 효자 이속(李續)이다. 이유양의 처 풍산홍씨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남달랐다. 시집을 간 뒤에도 어머니 권씨가 병을 얻게 되자 친정으로 돌아와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이고 간호하여 병을 낫게 했다. 다시 시가로 돌아가...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열녀. 본관은 문화(文化). 남편은 통덕랑에 오른 이학보(李學普)이다. 이학보의 처 문화유씨는 남편이 병석에 눕게 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마시게 하는 등 정성으로 간병하였다. 그러나 지극한 간병도 효험이 없이 48세로 남편 이학보가 별세했다. 이학보의 처 문화유씨는 남편의 장례를 치른 후 소복차림의 정좌한 자세로 세상을 떠나니 향년 26...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열녀. 본관은 전주(全州). 남편은 임경업(林慶業)이다. 임경업의 처 전주이씨는 임경업이 명나라와의 내통 사실이 발각되어 청나라로 압송 중에 탈출한 사건에 연좌되어 가족과 함께 청나라의 수도 심양으로 끌려갔다. 청나라에서 고초가 날로 심해지던 중인 1644년 9월 “나의 남편은 대명(大明)의 충신이고 나는 오로지 충신의 아내임을 알 뿐이다...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열녀. 본관은 광주(廣州). 임호현(林浩鉉)의 처 광주안씨는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으나 효행비문에 의하면 양이삼성(養以三省)·원자백행(源自百行)·언필화완(言必和婉)·심근성경(心根誠敬)의 효행이 있었다고 한다.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에 효행비가 남아 있다....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효부. 본관은 전주(全州). 남편은 유생 정수동이다. 정수동 처 전주이씨의 구체적 생애에 관해서는 알 수 없으나 효부로서 칭송이 자자했다고 전해진다. 1743년(영조 19) 전주이씨의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가 명해지고 정려가 건립되었다.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대곡리 맹동에 있는 정려는 남향으로 배치되었고, 정면 1칸, 측면 1칸의 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