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전기의 인물. 청주사람으로 궁예(弓裔)가 나라를 다스릴 때 같은 고을 사람인 아지태(阿志泰)에 의해 입전(笠全), 관서(寬舒) 등과 함께 참소를 당하였다. 이 일을 해당관리가 심리하였으나, 수년이 지나도록 판결이 나지 않았다. 이때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사건의 흑백을 분간하여 판결을 내려주어 일이 잘 해결되었다. 이 일로 인해 군문의 장교, 종실, 훈현(...
-
고려 전기의 인물. 청주사람으로 궁예(弓裔)가 아첨을 좋아하는 것을 보고, 같은 고을(청주) 사람인 입전(笠全)과 신방(辛方) 그리고 관서(寬舒) 등을 참소하였다. 이 참소를 해당관리가 심리하였으나, 수년 동안이나 판결이 나지 않자 고려 태조(太祖)가 그 흑백을 분간하여 판결을 내리니 여러 사람들이 그것을 유쾌하게 생각하였다. 태봉의 궁예에게 아첨을 하기 위해 같은 고을...
-
고려 전기의 무신. 청주사람으로 태봉 때 청주에서 무신으로 활동하였다. 그런데 궁예(弓裔)는 참소하는 말을 믿고 사람을 죽이기를 좋아하여 청주의 호걸들이 사변을 일으킬까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궁예는 장차 청주사람을 모조리 없애버릴 목적으로 청주에서 군인으로 있던 애견(愛堅), 윤전(尹全) 등 80여 명의 무고한 사람들을 불러 죽이려고 포박하여 끌고 오게 하였다. 그런데...
-
고려 전기의 무신. 청주사람으로 청주령군(淸州領軍)의 장군이었던 견금(堅金)의 부장(副將)으로서 활동하였다. 견금 역시 청주사람으로 청주령군의 장군으로 있었는데, 태조(太祖)가 즉위한 후 “청주사람들은 변심하는 일이 많으니 제때에 방비하지 않으면 반드시 후회가 생길 것이다” 생각하고 드디어 그 고을 사람 능달(能達), 문식(文植), 명길(明吉) 등을 보내 엿보게 하였다....
-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초명은 자림(子琳)이다. 현종 때 상주국 개성현 개국백(上柱國 開城縣 開國伯)의 봉작과 수충창궐공신(輸忠創闕功臣) 칭호를 받으면서 왕씨로 성을 하사받았으며, 그의 부인 김씨(金氏)는 개성군부인(開城郡夫人)에 봉해졌다. 왕가도(王可道)의 딸들은 현종 때 원질귀비(元質貴妃)가 되었으며, 덕종 때는 현비(賢妃)로 책봉되어 상회 공주를 낳았다....
-
고려 전기의 무신. 태봉 때 청주에서 군인으로 활동하였다. 청주는 토지가 비옥하고 호걸이 많아 이들이 사변을 일으킬까 궁예(弓裔)는 항시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장차 청주 사람을 모조리 섬멸해 버릴 목적으로 군인으로 있던 윤전과 애견(愛堅) 그리고 80여 명의 무고한 사람들을 포박한 채로 잡아오게 하였다. 태조(太祖)가 즉위한 후 이들이 무고하게 죽게 될 것을...
-
고려말·조선초의 공신.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낙천(樂天)이며, 호는 청허당(淸虛堂)이다. 이공승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이정(李挺)이며, 형은 청천백(淸川伯) 이거인(李居仁)이다. 아들로는 이백경(李伯卿), 이백관(李伯寬), 이백신(李伯臣), 이백강(李伯剛), 이백현(李伯儇)이 있다. 1393년(태조 2)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1397년 평안남도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달부(達夫)이며, 호는 추월재(秋月齋)이다. 태조 때 공신 이희능(李希能)의 6대손이자 이겸의(李謙宜)의 5세손이다. 이공승의 아들은 이춘로(李椿老)와 이계장(李桂長)이 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글을 잘 지었고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직한림(直翰林)을 거쳐 우정언(右正言)을 지냈다. 1148년(의종 2)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
-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공제(公濟)이며, 아명은 이재(李載)이다. 아버지는 이유적(李攸績)으로 예부시랑(禮部侍郞)의 관직을 지냈다. 청주 사람으로 선종 때 소부주부(少府主簿)가 되어 왕의 명령으로 송나라에 보내는 표문(表文)을 교정하였다. 그런데 송나라 연호를 써야 할 데다 그만 요(遼)의 대안(大安) 연호를 써서 송이 그 표문을 돌려보내 왔으...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평장사(平章事) 이공승(李公升)의 4대 후손이다. 아들은 이자심(李資深)이다. 충렬왕 때에 과거에 급제하여 남경 사록(南京司錄)에 임명되었다가 여러 관직을 거쳐 우정언(右正言), 지내지(知內旨)를 역임하였다. 외직(外職)인 공주부사(公州副使)에 부임하여서는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여 백성들의 살림을 풍요롭게 하였으며, 다시 우사간...
-
태봉~고려 초의 무신. 일찍이 궁예(弓裔)를 섬겨 은밀한 일을 탐지해 바치는 것으로 신임을 얻음으로써 무관에 등용되었다. 궁예 말년에 이르러 웅주(熊州)를 습격해 빼앗았으므로 그대로 그곳을 지키게 하였는데,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즉위한 소식을 듣고 몰래 해치려는 마음을 품고 부르지도 않았는데도 스스로 떠나오니, 그 수하의 병사들이 대부분이 도망해 버리게 되어 웅주는 다시 후백...
-
고려 전기의 문신. 918년(태조 원년) 순군리(徇軍吏)를 지냈다. 청주사람으로서 918년(태조 원년)에 순군리(徇軍吏)로 근무하였다. 이때 같은 고향사람인 청주의 배총규(裵悤規), 계천(季川)의 강길(康吉), 아차귀(阿次貴), 매곡(昧谷)의 경종(景琮)과 함께 반역을 꾀하고 청주로 돌아가려 하였다. 이것을 복지겸(卜智謙)이 먼저 알고 밀고하므로 태조(太祖)가 사람을 시...
-
고려 전기의 인물. 청주사람으로 궁예(弓裔)에 의해 통치되던 태봉 때 같은 고을 사람인 아지태(阿志泰)에 의하여 신방(辛方), 관서(寬舒)) 등과 함께 참소를 당하였다. 그러나 이 사건을 고려 태조(太祖)가 심리하여 그 흑백을 분간하여 판결을 내려주어 여러 사람들이 태조를 따르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
고려 전기 절도사의 칭호. 995년(성종 14) 전국의 12개 주에 절도사(節度使)를 두면서 청주에도 절도사를 두게 되었다. 그때 청주의 절도사를 전절군(全節軍)이라 부르고, 중원도(中原道)에 소속하게 하였다. 1012년(현종 3)에 이르러서 12주의 절도사를 폐지하니, 청주에도 역시 절도사가 폐지되면서 전절군이라는 칭호도 사라지게 되었다. 고려 성종(成宗) 대에 12주...
-
고려 후기의 문신. 청주사람으로서 본관은 청주이며, 자(字)는 사겸(思謙), 호는 설헌(雪軒)이다. 그의 할아버지는 장경공(章敬公) 정해(鄭瑎)이고, 아버지는 청하군(淸河君) 정책(鄭幘)이며, 동생은 좌사간(左司諫) 정포(鄭誧)이다. 과거에 급제하고, 1330년(충혜왕 즉위년)에 성균관승(成均館丞)을 지내었으며, 이어 감찰장령(監察掌令)이 되었으나, 내인 최안계(崔安桂)...
-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이 청주(淸州)이며, 어릴 때 이름은 준유(俊儒)이다. 그의 아들은 정현(鄭儇)으로 벼슬이 감찰어사에 이르렀으나, 일찍 사망하였다. 고종(高宗) 때 서경 어사대리(御史臺吏), 섭중낭장(攝中郞將), 장군, 시랑(侍郞),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 청주사람으로 1217년(고종 4) 어사대(御史臺)의 관리로서 서경을 책임지고 있었는데, 거란...
-
고려시대의 지방행정제도. 성종 대의 12목, 현종 대~고려 말까지 8목 중의 하나이다.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였으나 국초에는 지방세력이 강대했던 반면 중앙 행정력이 극도로 미약했기 때문에 지방관을 파견하지 못하였고, 중앙에서 지방을 효율적으로 통치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태조(太祖)는 지방세력이 강한 지역에 대한 조치로 주·부·군·현의 칭호를 고치고, 적극적으로...
-
고려 전기의 무신. 918년(태조 원년) 한찬(韓粲)을 지냈다. 청주사람으로 일찍이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섬겼다. 태조 왕건이 918년 6월 병진에 포정전에서 정식으로 왕위에 올라 국호를 ‘고려’라 하였는데, 왕이 한찬 총일에게 “이전 임금(궁예(弓裔))이 참소하는 말을 믿고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였는데, 그대의 고향인 청주는 토지가 비옥하고 호걸이 많아 이들이 사변을 일으킬까...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초명은 경(璟)이다. 고종 때 감찰어사(監察御使) 예부낭중(禮部郞中), 원종(元宗) 때 공부시랑(工部侍郞)·간의대부(諫議大夫), 국자대사성(國子大司成),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냈다. 충렬왕(忠烈王) 때 세자조호(世子調護),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좌상시, 판삼사사(判三司事), 재추소사존(宰樞所司存),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의지(宜之)이다. 한강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지낸 한사기(韓謝奇)이고, 아버지는 사숙공(思肅公) 한악(韓渥)이며, 아들은 문경공(文敬公) 한수(韓脩)이다. 형 한대순(韓大淳)과 동생 한중례(韓仲禮), 한방신(韓方信)이 있다. 음직으로 벼슬을 받고 충혜왕의 신임으로 호군에 특진하여 대호군(大護軍), 삼사우윤(...
-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한강(韓康)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지낸 한사기(韓謝奇)이고, 아버지는 사숙공(思肅公) 한악(韓渥)이며, 형 한대순(韓大淳), 한공의(韓公義), 한중례(韓仲禮), 아들로는 한휴(韓休), 한안(韓安), 한녕(韓寧), 한열(韓烈)이 있다. 과거에 급제하여 용략이 있어 상장군(上將軍)까지 올랐으며, 여러 관직들을 거쳐...
-
고려 후기의 문신, 명필가.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字)는 맹운(孟雲)이며, 호는 유항(柳巷)이다. 한강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평간공(平簡公) 한공의(韓公義)이며, 중찬(中贊) 한악(韓渥)이 할아버지이다. 그의 아들은 한상환(韓尙桓), 한상질(韓尙質), 한상경(韓尙敬), 한상덕(韓尙德)이다. 1347년(충목왕 3) 나이 15세로 과거에 급제하였다. 필체가 뛰어나 충정왕이 그를...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문혜공(文惠公) 한강(韓康)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간의대부(諫議大夫) 한사기(韓謝奇)이며, 형은 한영(韓永)이다. 한악(韓渥)의 아들은 한대순(韓大淳), 한공의(韓公義), 한중례(韓仲禮), 한방신(韓方信)이다. 한대순은 관직이 지도첨의사사(知都僉議司事에) 이르렀다가 충정왕 말년에 기장감무(機張監務)로 강직되었다. 한공의는 청성군(淸城君)...
-
고려 전기의 무신. 918년(태조 원년) 순군낭중(徇軍郞中), 병부낭중(兵部郞中)을 지냈다. 청주사람인데, 태조(太祖)가 현율을 순군 낭중(徇軍郞中)으로 삼으니, 마군장군 배현경과 신숭겸(申崇謙)이 말하기를 “지난번에 임춘길(林春吉)이 순군리(徇軍吏)로 있으면서 반란을 도모하다가 일이 탄로되어 사형을 당한 일이 있었는데, 이것은 병권을 잡고 있으며, 자기 고향(청주)인...
-
고려초의 무신. 환선길은 동생 향식(香湜)과 함께 태조(太祖)를 섬겨 왕조 창업에 공로가 있었으므로 환선길을 마군장군(馬軍將軍)으로 임명하고, 심복으로써 믿으면서 항상 정예군(精銳軍)을 거느리고 왕궁을 숙위(宿衛)하게 하였었다. 그런데 어느 날 그의 처가 말하기를 “당신의 재주와 능력이 남보다 훨씬 뛰어나므로 사졸(士卒)들이 당신에게 복종하고 있으며, 큰 공훈을 세웠는데...
-
태봉~고려 초의 무신. 청주사람으로서 청주 영군장군(領軍將軍) 견금(堅金)의 부장(副將)으로서 활동하였다.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고려를 건국하자 청주 영군장군 견금이 부장(副將) 연익(連翌), 흥현(興鉉)을 데리고 태조를 뵈오니, 각각 말과 비단을 차등 있게 주었다. 태조가 즉위한 후 ‘청주사람들은 변심하는 일이 많으니 제때에 방비하지 않으면 반드시 후회가 생길 것이다’고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