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오룡동에 있었던 서점. 경부선 철도 천안역 바로 앞에서 1960~1980년대 천안시를 대표하던 서적 센터였다. 천안 시민과 인근 충청남도의 유명한 랜드마크 책방으로 학생과 지성인들이 즐겨 찾았던 서점이다. 천안 지성인의 교양 문화 창달과 지역의 문화 예술의 계발을 선도하기 위해 1950년에 개점하였다. 1950년 6·25 전쟁...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오룡동에 있는 현존하는 천안의 가장 오래된 유치원. 복자 유치원의 원훈은 ‘서로 돕는 어린이, 책임감 있는 어린이, 튼튼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이다. 1957년 8월 19일 복자 유치원 설립 인가를 받아 개원하였다. 초대 원장으로 구인덕 신부가 취임하였다. 1998년 12월 13일과 2001년 6월 30일 충청남도 천안 교육청 우수 유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있는 법정동. 지형 생김이 명당인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이라 하여 오룡동(五龍洞)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려 때는 천안부에 속했다. 조선 시대 천안군 상리면에 속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읍내리(邑內里)이라 하고 영성면에 속하게 하였다. 1917년 영성면이 천안면이 되었고,1931년 천안면이 천안읍이 되어 천안군 천안읍 읍내리가 되었...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오룡동에 있는 천주교 대전교구 소속의 천주교회. 1939년 천안 성황동에 천주교회를 설립하였다가 1957년 오룡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천안은 1930년대까지는 안성 천주교회에 소속된 작은 공동체[공소]였다. 천안은 지역 인구가 많고 중요한 도시였기 때문에 1939년 공소를 승격시켜 성황동에 천안의 첫 천주교회를 설립하고 이름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오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갖는 어린이,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어린이, 공동생활에 솔선수범하고 바르게 행동하며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건강하며 슬기로운 천앙 중앙 어린이’이다. 1909년 4월 1일 개교한 천안 심상 소학교를 1945년 9월 2...
-
일제 강점기에 천안 지역에 있었던 일본인을 위한 초등 및 중등 교육 기관.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항복할 때까지 천안에 거주하는 일본인 학령 아동에게 황국 신민(皇國臣民)으로서 자질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일제 강점기의 학교 조합은 한국에 거류하는 일본인 자제 교육을 위한 공공 법인이었다. 1909년 12월 27일 제정된 ‘학교 조합령’에 따르면 “학교 조합은 법인으...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발행되었던 인터넷 신문. 『천안 뉴스』는 시민의 입장에서 지역 현안을 바라보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2008년 9월 창간되었다. 창간 당시는 격주로 발행되던 인쇄 신문이었으나, 이후 인터넷 신문만 발행했다. 인터넷 신문은 2011년 4월 29일자 기사를 마지막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가 2013년 5월 중 재발행할 예정이었으나 천안...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오룡동에 있는 이주민 인권 운동 단체. 한국 사회의 모든 이주민들이 그들의 인종, 문화, 종교, 국가, 언어를 넘어서 인권을 존중 받으며, 노동자·사업주, 내국인·외국인을 구별하지 않고 관계 형성을 통해 다름의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이주민이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의 이웃으로 자리할 수 있는 지역 사회를 만들고, 넓게는 평화로...
-
천안시 동남구 오룡동에 위치한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시민 단체. 천안시 후손들에게 자랑스럽게 물려줄 풍요롭고 살기 좋은 선진 천안을 건설하려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설립되었다. 1920년 2월 1일 일제 강점기에 천안 번영회가 조직되었고, 1963년 1월 1일 천안시로 승격되어 천안시 번영회로 1963년 4월 1일 창립되었다. 천원군 번영회로 분리 창...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오룡동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행궁. 화축관(華祝館)은 조선 시대에 천안군에 건립되었던 행궁이다. 천안 군수 노대하(盧大河)가 1602년(선조 35)에 건립하였고, 천안 군수 조경빈(曺敬彬)이 중수하였다. 이에 대한 우암 송시열의 기문이 남아 있다. 그 후로도 수차례 중수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는 경찰서와 헌병대 건물로 사용되다 이후 모두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