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0808 |
---|---|
한자 | 喪輿- |
영어의미역 | Song of Funeral Procession |
이칭/별칭 | 「만가」,「넘차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
집필자 | 정인영 |
[정의]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민요.
[개설]
「상여소리」는 장례 절차 중에서 상여를 메고 갈 때 선소리꾼(상두꾼)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소리」에는 상여가 죽은 이의 집을 떠나면서 부르는 발인 또는 하직하는 소리, 상여를 들거나 내리며 부르는 소리, 장지까지 가며 부르는 소리 등이 있다. 부천 지역에서 채록한 「상여소리」는 장지까지 가며 부르는 소리이다. 「상여소리」는 죽은 이의 집에서 장지까지 가는 꽤 긴 시간 불린다. 이때 선소리꾼은 가족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죽은 이의 심정을 대신 전하기도 하고, 죽은 뒤에 가게 될 저승의 광경을 그리기도 하며, 죽은 뒤 묻힐 땅의 내력을 노래하기도 한다.
보통 「상여소리」에 많이 쓰이는 가사는 「회심곡」, 「백발가」이고 “명사십리 해당화야” 등 공식처럼 등장하는 구절들이 있다. 「상여소리」의 가사는 전국적으로 보편적이어서 지역적 독자성을 찾아보기 힘들며, 긴 사설을 노래하기 때문에 서사적 가요의 성격을 갖고 선율은 단순한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상여소리」는 장례의식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의식요로 분류되나 무거운 상여를 운반한다는 점에서는 노동요의 성격도 지닌다. 대개의 노동요가 현대에 들어 노동방식이 바뀌며 현장에서 사라졌지만, 「상여소리」 만큼은 아직도 일부 지역에서 불리고 있다.
[채록/수집상황]
1984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1-8에는 실려 있다. 이는 1982년 6월 14일 성기열·최명동 등이 인천시 남구 선학동[현재 인천광역시 연수구 선학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이기명[남, 45]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상여소리」는 선소리꾼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상두꾼 여럿이 뒷소리를 받거나, 상두꾼들이 두 패로 나뉘어 주고받는 식으로 노래한다. 「상여소리」는 기본적으로 긴소리와 짧은소리 두 가지로 구성된다. 「상여소리」는 노동요이기에 노동의 기능성에 따라 소리들이 교체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처음에는 후렴구가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인 긴소리지만, 장지까지 가는 시간이 지체되므로 빠른 소리로 교체한다. 그러다가 잠시 길에 쉬었다 가면서 긴 소리와 짧은 소리를 교체한다. 보통 장지가 산에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언덕으로 올라가는 길에서부터는 가락이 빨라지면서 “어하어하 어하어하”가 후렴구인 짧은 소리로 바뀐다.
부천 지역 「상여소리」는 내용면에서 경기도 「상여소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차이를 찾자면 후렴구 정도를 들 수 있다. 경기도 「상여소리」의 받는 소리 후렴구는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긴 소리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등장하는 후렴구는 “어호 어호 어그리넘차 어호”식의 이른바 ‘넘차류’이다. 부천 지역의 「상여소리」 역시 ‘넘차류’에 속하지만 부천 지역에서 채록한 「상여소리」는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부천 지역은 경기 지역에 속하고 서울과도 인접해 있기 때문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시름치를 말어라/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사람밖에 따르느냐/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여보시오 사람이요/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이내한마디 들어보시오/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일사청내 다못하/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이다음으루 넘어가자/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어머님전 뼈를빌구/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아버님전 영을받어/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서방님전 절을하고/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칠성님전 명을받구/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태성님전 절을하구/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이날일찍이 번성허고/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정조판에 길을몰라/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이번길을 가는구료/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 어이없고 애닯고야/ 어 넘차 넘차/ 어 허 어어어어/ 어거리 넘차 넘차(이하 생략).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장례와 관련된 민속을 보면, 가례(家禮)로서 거쳐야 하는 규범적 의식 절차 외에 주검을 운반하는 ‘상여’가 있고, 상여를 보관하는 ‘곳집’과 이를 관리하는 ‘소임’ 또는 ‘고지기’가 있으며, 상여를 메고 산역을 하는 사람들의 조직인 ‘상두계’를 들 수 있다. 또한 운구할 때 부르는 「상여소리」와 달구질할 때 부르는 「달구 소리」와 같은 장례의식요와 이의 앞소리를 메기며 운구를 주도하는 요령잡이 또는 앞소리꾼이 있다. 이들은 마을 공동체가 상부상조하는 전통적인 부조교환의 원리와 의례에 필요한 각종 기물들의 공동사용 및 상두계와 같은 공동 노동조직을 통한 의식의 협업, 그리고 축제 형식을 통한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단서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부천 지역의 「상여소리」는 경기도 남부 지역의 「넘차 소리」 유형에 속한다. 큰 특이점은 없으며 경기 지역 「상여소리」의 모습을 충실하게 담아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가사가 잘 채록되어 부천 지역의 다른 어떤 민요보다도 내용이 풍부하게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