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및 그 작품. 부천 문학은 수주 변영로를 효시로 김영달, 장종태, 최은휴 등을 거치면서 싹트기 시작했고, 1970년대 이석인, 구자룡, 유영자, 이재인, 김정오, 김연식, 이병기가 그 뒤를 이으면서 발전했다. 한국문인협회 부천지부 창립, 부천문우회와 복사골 문학회 창립, 문학동인 등이 발간되면서 부천 문학이 크게...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골짜기. 부굴골은 구부골의 바뀐 이름으로 보인다. 골짜기가 구불구불하게 이루어졌다고 해서 붙여진 구부골의 앞뒤 말이 순서가 바뀌어 부굴골이 된 것이다. 할미산 오른쪽 소새로 펼쳐진 골짜기도 구부골인데 이름이 똑같다. 이 골짜기 상류에는 과수원이 펼쳐져 있고 아래쪽으로는 벼농사를 짓고 있다. 예전에는 골짜기까지 강물이 밀려들어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범위도...
-
고려시대·조선시대 부천 지역의 옛 이름. 1310년(충선왕 2)에 부평부(富平府)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하였다. 원래는 황무지였으나 농경지를 개척하여 넓은 곡창지가 되고 수확량이 많았으므로 ‘부할 부(富)’자와 ‘넓은 평(平)’자를 써서 부평이라 하였다. 원래 부평은 현재의 계산동이 중심지였으나 부평역이 생기면서 중심지가 옮겨져 부평역 주변과 시장 지역을 부평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에 있던 골짜기. 사박굴에서 ‘굴’은 골짜기를 가리킨다. 사박은 삽안이 사반으로 바뀐 후, 사박으로 변한 것이다. 삽은 샅이라는 뜻으로 삽다리에서 보여지듯 ‘사이’라는 의미이다. 즉 웃고얀과 아랫고얀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의미한다. 웃고얀·가운데고얀·아랫고얀으로 통치되는 고얀 사람들은 사박굴 골짜기에서 바우백이에 올라 사방의 경치를 바라보는 것을 즐겼다. 이 때...
-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던 자연 마을. 산골이란 이름은 한자로 쓰면 산곡(山谷)이고 고대어로 쓰면 미골이다. 이곳을 미골이라 하지 않고 산골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이곳 마을이 조선시대에 들어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송내동 398번지[경인로60번길 18] 일대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한국전력공사와 부천여자중학교가 있는 주변 지역에 해당된다. 이곳은 약 300여 년 전부터 평산신씨...
-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골짜기. 새경골은 양반집 머슴이 새경으로 산 밭이 있는 골짜기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으로 보이며, 일명 효경골이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효경곡(孝經谷)이라 해서 효의 골짜기처럼 보인다. 『조선지지자료』에도 효경곡이라 되어 있다. 그런데 마을이 아닌 골짜기에 효를 붙일 이유가 없어 보이므로 조선시대 어느 선비가 묻히면서 이런 이름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 있던 자연 마을. 새로 들어선 마을이라고 해서 새말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언급이 되어 있지 않아 일제시대 이후에 생긴 마을이다. 베리네천을 사이에 두고 작미골에 새말과 새마을이 형성되었다. 마을 부근에 은데미산을 넘는 새말고개가 있었고, 마을 건너편에는 삼태기산이 있었다. 은데미산 동남쪽에 새로 마을이 형성된 것이다. 작동에서 여월동 쪽에 있던...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는 자연 마을. 샛골은 샛말에서 뒤골 쪽으로 철탑 못 미친 지역, 즉 샘말과 뒤골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원래는 이곳에 마을이 없었는데 1950년 밀양변씨 변호면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남쪽으로는 대머리산이 있고, 북쪽으로는 뒤골이 자리 잡고 있다. 샛골은 부천시 고강동 263번지 일대로 가구 수는 총 3가구이다....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오정마루에서 서쪽으로 능성이를 이룬 곳에 새로 마을이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혹은 새마을을 줄여서 부른 이름이라고도 한다. 샛말은 큰말과 누른말 사이에 있던 조그만 마을로 현재 오정동 275~284번지 3통과 23통 지역이다. 오정큰길이 뚫리면서 조각난 마을이 되었다. 전씨가 주축이 되어 마을이 형성되었고, 현재도 몇 가구의 주...
-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의 까치울 지골과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 사이에 있는 고개. 수렁고개는 지골이 질척질척한 고개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땅이 질다’는 말이 수렁이므로 고개이름이 자연스럽다. 지골을 한자로는 니곡(泥谷)이라고 한다. 수렁고개는 자연생태박물관 남동쪽에 있는 고개로, 능너머고개처럼 빈번하게 왕래하는 고개는 아니었다. 능너머고개로는 마차를 끌고 넘어가기도 했지만...
-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던 논. 수렁처럼 무른 개흙으로 된 논배미여서 수렁배미라 하였다. 실제로 소가 들어가서 논을 갈지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현재 수렁배미 자리에는 송내초등학교가 들어섰고, 송내주공아파트 3단지·4단지·5단지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
고려 전기 경기도 부천의 행정 지명. 계양산 북쪽 수소리(樹蘇里)에 청사가 있었는데, 이곳이 밀림 속처럼 울창하다 하여 수주(樹州)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수주는 고구려 때 주부토(主夫吐), 통일신라시대 장제(長堤)에 이어 세 번째로 쓰인 부평의 행정 지명이다. 고려 초에는 대체로 고려왕조에 협조적이거나 귀부(歸附)해 온 지방 세력의 근거지를 주(州)로 삼는 경우가 많았는데, 당시...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 산. 안산은 벌응절리와 사래울 사람들이 풍수지리적으로 새롭게 명명한 이름이다. 안산은 주산(主山)·청룡(靑龍)·백호(白虎)와 함께 풍수학상의 네 요소의 하나이다. 여러 산이 겹쳐 있으면 내안산(內案山)과 외안산으로 구별한다. 『지가서(地家書)』에 보면 “조산(朝山)이나 안산은 묏자리의 맞은편 산이다. 가깝게 있으면서 작은 것은 안산, 멀리 있으면서 높은...
-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 앞에 있는 들. 암우들은 범박 안동네 앞이고, 배못탱이 앞에 있는 들을 가리킨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암우평(岩隅坪)으로 범박동에 속해 있는 것으로 적고 있다. 이는 바위 암(岩) 자가 바회로 배를 표기한 것으로 보이고, 모퉁이 우(隅) 자는 모퉁이를 한자로 적은 것으로 여겨진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바위모퉁이들이다. 이는 배못탱이들과 그 뜻이 같다. 암우들...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있던 들. 아랫소새마을과 윗소새마을 앞에 있는 들이라고 하여 압들이라고 불렀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전평(前坪)으로 기록되어 있다. 소사리에 속한 것으로 되어 있다. 중림재 개울 아래인 현태굴다리 위까지는 서해 조수가 밀려들어 왔는데, 서해 조수가 미치지 못하는 상류쪽으로는 일찍부터 들판이 조성되었다. 이 들을 가리켜 압들이라고 한다. 압들 인근으로는 산지가...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 건지산 동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 앞에 있다고 해서 앞굴로 붙여졌고, 너구리가 많이 살았다고 해서 너구리골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앞굴 바로 옆에는 너구리골 양계장이 자리 잡고 있다. 앞굴에서 흘러내린 물이 용문내로 합류하여 안양천으로 흘러간다. 이곳에는 소사구 하수종말처리장이 들어서 있고, 부천남부수자원생태공원으로 꾸며 놓아 대장 한다리에 있는 부천북부수자원생...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는 벌판. 『조선지지자료』에는 전야(前野)로 표기되어 있다. 방오리보를 따라 형성된 들을 가리키는데, 앞벌은 큰말 앞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방오리보가 축조되기 전에는 개별적으로 둑을 막아 농사를 지었지만 방오리보가 축조된 후 커다란 벌판이 조성되었다. 현재는 넓게 형성된 대장리들에서 밭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근에는 덕산초등학교 대장분교장이 위...
-
경기도 부천시 내동 뉴파라다이스 뷔페 앞에 놓여 있던 다리. 『조선지지자료』에는 얼미다리라고 기록되어 있다. 얼미의 어원은 ‘얼믜’이며, ‘얼믜다’는 ‘성기다’라는 의미이다. 얼미다리는 통나무로 얼기설기 얽어서 만들어진 다리를 말한다. 얼미다리가 있던 곳은 예손병원 앞은 지대가 높아 서해 조수가 올라오지 못했다. 그래서 홍수로 인해 다리가 휩쓸려 가는 일이 적었기 때문에 얼미다리와...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던 자연 마을. 외따로 떨어진 마을이라고 하여 외딴말로 불렸다. 장말이 동남쪽 방향에 길게 언덕위에 자리를 잡고 있었고, 동북쪽에는 약대가 있었다. 겉저리의 고비골에서 흘러 내려온 냇물이 마을 남쪽을 지나갔다. 부평수리조합이 생긴 뒤로는 동부간선수로 지선이 일곱집매 동쪽에 있었다. 마을에 큰물이 차면 주민들은 넘말이나 장말로 피신을 해야 했다. 그만큼 물과...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던 들. 지금의 중동 1034번지[길주로 205] 중동 은하마을 앞 상가 일대이다. 소나무가 많았으며, 외송나무벌 동쪽으로 겉저리내가 흘렀다. 현재 외송나무벌이 있던 자리의 맞은편에 부천시청이 들어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