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녹도 봉수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426
한자 鹿島 烽燧臺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 산1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심상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녹도 봉수대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 산17 지도보기
성격 봉수대
크기(높이,길이,둘레) 1.8m[잔존 높이]|7.6m[동서 길이]|9.6m[남북 길이]|27m[둘레]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녹도에 있는 조선 후기 권설봉수대의 하나.

[개설]

충청남도 보령에 자리한 충청수영으로 연결된 조선 후기 봉수대(烽燧臺)이다. 봉수대는 2중의 구조로 동서 7.6m, 남북 9.6m, 둘레 27m 정도의 원형이고, 잔존 높이는 1.8m이다. 봉수대로 들어가는 출입 시설은 북동쪽에 나 있는데 폭은 1.2m이다. 중심부는 지름 2.2m가 흙으로 되어 있고, 밖으로 1m 정도 둥근 자갈이 깔려 있다. 봉수대 밖으로 3m 내지 4m 떨어져 석축의 담이 둘러져 있다. 봉수대는 다듬지 않은 활석으로 만들어졌다. 봉수대에서 서남쪽으로 6m 떨어진 곳에는 돌로 구획된 5.5×4.8m 크기의 평평한 공간이 있는데, 연료를 저장한 공간으로 추정된다. 녹도 봉수대는 16.25㎞ 떨어진 외연도 봉수대와 16.9㎞ 떨어진 원산도 봉수대를 연결한다.

[건립 경위]

조선 시대 충청남도 보령의 충청수영성으로 연결된 봉수대이다. 봉수대의 노선은 어청도~외연도~녹도~원산도~오천면 영보리 망해정 봉수대[보령 충청수영성]로 연결되어 있다.

[위치]

보령항에서 22㎞ 떨어진 녹도[90m]에 있는 봉수대이다. 녹도 봉수대녹도 산정에 있다.

[형태]

녹도 봉수대는 산정을 평평하게 한 후 원형으로 봉수대를 설치한 구조이다. 봉수대의 둘레는 27m 정도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 충청도 서해안의 충청수영으로 연결된 봉수대의 하나로 조선 시대 충청도 일원의 봉수대를 잘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