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초기 충청남도 아산현에서 맹사성이 지은 시조.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는 맹사성(孟思誠)[1360~1438]이 세거지인 충청남도 아산에서의 강호(江湖) 체험을 바탕으로, 여말선초(麗末鮮初)의 혁신적 관료 사대부들이 품었던 유교적 이상 국가의 비전을 그린 작품이다. 연시조 형태로는 최초이며, 강호한정가(江湖閑情歌)[자연 속에서 한가로운 정취를 느끼며 부르는 노래]의...
-
조선 중기 충청남도 아산현의 문신이자 학자인 홍가신의 시문집. 『만전집(晩全集)』은 충청남도 아산현의 문신이며 학자인 홍가신(洪可臣)[1541~1615]의 문집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조선 선조 때인 1589년에 정여립을 비롯한 동인의 인물들이 모반 혐의로 박해를 받은 사건], 임진왜란, 이몽학의 난[1596년(선조 29) 임진왜란 중에 이몽학이 주동이 되어 충청도에서...
-
조선 후기 문신으로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에 묘소가 있는 홍만조의 문집. 『만퇴당집(晩退堂集)』은 조선 후기 문신 홍만조(洪萬朝)[1645~1725]의 문집이다. 6권 6책의 필사본이며,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찬 경위를 알 수 없다. 『만퇴당집』을 지은 홍만조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종지(宗之), 호는 만퇴(晩退)이다. 1678년(숙종 4) 증...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만들어진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충청남도 아산시의 문학이란 아산 지역을 대상으로 창작한 작품과 아산 출신의 작가가 창작한 작품을 이른다. 전근대 시기 아산과 관련된 문학적 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산은 주로 경유의 공간으로 그려진다. 조선 후기 숙종 대 박두세(朴斗世)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요로...
-
조선 후기 충청남도 아산의 문신이자 학자인 강학년의 문집. 『복천유고(復泉遺稿)』를 지은 강학년(姜鶴年)[1585~1647]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구(子久), 호는 복천(復泉)·자운(紫雲)이다.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묘소가 있다. 『복천유고』는 1959년 강학년의 10대손 강태석(姜泰錫) 등이 편집 및 간행하였다. 『복천유고』는 2권 1...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격언. 속담의 속(俗)은 민중들의 일상적인 생활공간을 의미하며, 담(談)은 상대적으로 짧은 이야기를 말한다. 따라서 속담은 단순히 사전적인 의미에서의 민중들의 일상적인 짧은 이야기가 아니라 일상의 공간에서 얻어진 삶의 지혜와 비유적 표현을 담고 있는 말을 뜻한다. 특히 교훈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혹은 풍자적인 효과를 배로...
-
어떠한 대상을 은유의 방법으로 빗대어 말해 알아맞히는 놀이. 수수께끼는 충청남도 아산 지역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말장난으로, 말로 숨은 것을 찾아내 겨루는 것을 말한다. 수수께끼는 질문자와 해답자를 가지며, 묘사가 비교적 단순하고 은유적 표현을 사용하는 고도의 오도성(誤導性)을 띤다는 특징을 가진다. 수수께끼는 은유적 표현으로 사물이나 사건의 본질을 고의로 다...
-
조선 후기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에 있었던 정퇴서원에 제향된 학자 조상우의 문집. 『시암집(時庵集)』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에 있었던 정퇴서원(靜退書院)에 제향된 학자 조상우(趙相禹)[1582~1657]의 시문집이다. 7권 3책으로, 후손인 조상규(趙橡圭)와 조진심(趙鎭心)이 1845년에 간행하였다. 『시암집』을 지은 조상우의 본관은 양주(楊州)이...
-
서거정이 지은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의 공북정에 대한 기문. 「신창현공북정기(新昌縣拱北亭記)」는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의 공북정(拱北亭)이 지어진 시기와 유래, 정자의 이름에 담긴 의미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충청남도 아산현의 신창수령 조군유(趙君愉)[『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조침(趙侵)으로 기록되어 있음]가 공북정을 지었고, 윤자운(尹子雲)...
-
조선 전기의 문신 이승소가 충청도관찰사 재임 시 충청남도 아산을 주제로 지은 한시. 이승소(李承召)[1422~1484]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호는 삼탄(三灘), 본관은 양성(陽城)이다. 1447년(세종 29)에 문과에 급제해 출사하였으며, 세조가 즉위하면서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71년(성종 2)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고, 양성군...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민구가 충청남도 아산에서의 유배 체험을 바탕으로 지은 시문집 중 하나. 『아성록(牙城錄)』은 1643년부터 1647년까지 이민구(李敏求)[1589~1670]가 충청남도 아산에서 유배 기간에 아산의 견문을 바탕으로 하여 지은 291수의 시 작품집이다. 이민구의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자시(子時), 호는 관해(觀海)·동주(東州)이다....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언어 체계는 중부 방언 중 충남 방언에 속하며, 다른 지역 방언들과는 다르게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음장(音長) 방언권(方言圈)에 속한다. 충청남도 아산시는 지리적으로 우리나라의 중부에 있다. 언어적으로 우리나라 방언권은 동남 방언, 서남 방언, 중부 방언, 서북 방언,...
-
조선 후기 문신 박준원이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있는 영인산의 기이한 돌에 관한 이야기를 기록한 전설. 「영인산동석기(靈仁山動石記)」는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서 민간에 전해지는 영인산의 움직이는 돌에 대한 전설이다. 「영인산동석기」의 저자는 박준원(朴準源)[1739~1807]으로,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금석(錦石)이다. 김양행(金...
-
1750년 영조의 충청남도 아산 온양 행차에 참여한 관원의 명단과 그때 수창한 시편 등을 모은 책. 영조는 피부병을 치료하기 위해 1750년 9월 12일 궁궐을 떠나 충청남도 아산의 온양온천에서 목욕을 한 뒤 9월 28일 환궁하였는데‚ 이때 3‚300여명이 배종(陪從)하였다. 『온양배종록(溫陽陪從錄)』은 영조의 온행 전말과 배종한 신하의 성명, 충청도의 각 감영에서의 업...
-
1905년경 쓰인 충청남도 아산시의 온양온천 기행문. 「온양온수노졍긔라」는 조선 말기 회덕(懷德) 송촌에서 살았던 광산김씨 노부인이 1905년 64세 되던 동짓달에 난생 처음 기차를 타고 충청남도 아산군의 온양온천을 다녀온 후에 기록한 산문체의 국문 기행문이다. 「온양온수노졍긔라」의 저자는 1842년(헌종 8) 출생한 충청 지역 회덕 송촌송씨 집안의 노부인이다...
-
조선 후기 문신 남구만이 지은 충청남도 아산현의 온양온천에 대한 기문(記文). 「온양온천북탕기(溫陽溫泉北湯記)」는 남구만(南九萬)[1629~1711]이 1660년 가을 어머니를 모시고 충청남도 아산현 온양군의 온탕에 갔다가 퇴락한 온천을 수리하고 보수한 내용에 관한 기록이다. 남구만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 시호는 문충...
-
이숙함과 임원준이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의 팔경 제목으로 지은 고체시. 「온양팔영(溫陽八詠)」은 관찬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9권 충청도편 「온양군」 기사의 제영(題詠) 부분에 기재되어 있다. 이숙함(李叔瑊)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차공(次公), 호는 몽암(夢菴)·양원(楊原)이다. 1454년(단종...
-
충청남도 아산현의 온양온천에 대해 조선 후기 조수삼이 쓴 기록. 「온정기(溫井記)」는 조수삼(趙秀三)의 시문집 『추재집(秋齋集)』에 실린 충청남도 아산현의 온양온천에 대한 기록이다. 조수삼[1762~1849]의 본관은 한양(漢陽)이며, 자는 지원(芝園)·자익(子翼), 호는 추재(秋齋)·경원(經畹)이다. 중인 신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항시인(閭巷詩人...
-
현종(顯宗)의 충청남도 아산현 온양 행차에 참여한 관원들의 명단을 적은 책. 『온천배종록(溫泉陪從錄)』은 현종이 1665년 충청남도 아산현의 온양온천에 행차하였을 때 참여한 관원들의 명단을 기록한 책으로, 온행의 전말을 기록한 송시열의 서문이 있다. 『온천배종록』은 1665년(현종 6) 충청도 감영에서 간행하였다. 『온천배종록』은 1665...
-
사도세자가 1760년(영조 36) 7월 18일부터 8월 4일까지 충청남도 아산현의 온양온천을 다녀오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일기. 『온천일기(溫泉日記)』는 사도세자(思悼世子)가 피부병과 다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충청남도 아산현의 온양온천에 다녀오는 일정과 신하들과 나눈 대화를 일기 형식으로 기록하였다. 『온천일기』의 간행처는 승정원(承政院)이다. 당...
-
현종과 숙종의 충청남도 아산현 온천 행차에 대한 기록을 날짜별로 정리한 등록. 『온행등록(溫幸謄錄)』은 현종과 숙종의 온행을 날짜별로 정리한 등록(謄錄)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온행등록』은 예조(禮曺) 전향사(典享司)에서 편찬하였다. 현종은 1665년부터 1669년까지 매년 온행을 거행하였으며, 숙종은 1717년 안...
-
1750년 영조의 충청남도 아산현 온양 행차에 참여한 관원의 명단과 행차 당시 수창한 시편 등을 모은 책. 『온행배종록(溫幸陪從錄)』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온양배종록(溫陽陪從錄)』과 같은 내용의 책이나, 『온행배종록(溫幸陪從錄)』은 수록 순서에 착간(錯簡)이 있다. 『온행배종록』은 충청도 공주 감영에서 간행하였으며, 영조와 34인의 신하들이...
-
1750년(영조 26) 9월 12일부터 9월 17일까지 영조가 서울을 출발하여 충청남도 아산의 온양온천 이궁(離宮)에 이르기까지의 사실을 기록한 일기. 『온행일기(溫幸日記)』는 영조(英祖)가 서울에서 충청남도 아산의 온양온천까지의 행차 중 각 지역에서의 의례, 상황 보고와 영조의 지시, 지방의 풍물과 온행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숙종에 대한 영...
-
충청남도 아산시 외암리에 세거했던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간의 문집. 이간(李柬)[1677~1727]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 자는 공거(公擧), 호는 외암(巍巖)·추월헌(秋月軒),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학행(學行)으로 여러 차례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권상하(權尙夏) 문하의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같은 문인인...
-
조선 숙종 때 박두세가 충청남도 아산군 음봉면 신정리에 있는 요로원을 배경으로 지은 것으로 알려진 수필 형식의 단편 산문. 「요로원야화기(要路院夜話記)」는 조선 숙종 때의 박두세(朴斗世)[1650~1733)가 1678년 4월 3일 밤에 충청남도 아산군 음봉면 신정리에 있는 요로원 주막에서 우연히 만난 서울 양반과의 대화를 기록한 작품이다. 「요로원야...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이지정이 1647년(인조 25)에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서호에서 쓴 서첩. 이지정 초서 취영구절은 이민구(李敏求)가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서 유배생활을 하다가 풀려 서울로 돌아가며 쓴 시를 절친한 친구 이지정(李志定)[1588~1650]이 초서로 쓴 서첩이다. 이지정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로, 본관은 여주...
-
조선 전기 충청남도 아산현감 이지함의 문집. 『토정유고(土亭遺稿)』는 충청남도 아산현감을 지낸 이지함(李之菡)[1517~1578]의 문집으로, 시문과 상소, 묘갈명(墓碣銘) 등이 실려 있다. 『토정유고』를 지은 이지함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형백(馨伯)·형중(馨仲), 호는 수산(水山)·토정(土亭)이다. 서경덕(徐敬德)[1489~1546]의 문하에서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