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2년에 편찬된 『1872년 군현지도』에 수록된 신창현의 지도. 『1872년 군현지도』 신창현 편은 1872년 현재의 아산시 신창면, 도고면, 선장면 일대를 묘사한 군현 지도이다. 고종 즉위 이후 재정 확보, 군제 정비를 위하여 1871년 열읍지도등상령(列邑地圖謄上令)이 발표되고, 각 군현에서는 지도를 제작하여 1872년에 올렸는데 이때 제작...
-
1872년에 편찬된 『1872년 군현지도』에 수록된 아산현의 지도. 『1872년 군현지도』 아산현 편은 1872년 현재의 아산시 염치읍, 인주면, 둔포면, 영인면, 음봉면 일대를 묘사한 군현 지도이다. 고종 즉위 이후 재정 확보, 군제 정비를 위하여 1871년 열읍지도등상령(列邑地圖謄上令)이 발표되고, 각 군현에서는 지도를 제작하여 1872년에...
-
1872년에 편찬된 『1872년 군현지도』에 수록된 온양군의 지도. 『1872년 군현지도』 온양군 편은 1872년 현재의 아산시 배방읍, 송악면 일대를 묘사한 군현 지도이다. 고종 즉위 이후 재정 확보, 군제 정비를 위하여 1871년 열읍지도등상령(列邑地圖謄上令)이 발표되고, 각 군현에서는 지도를 제작하여 1872년에 올렸는데 이때 제작된 온양군...
-
18세기 초·중엽 비변사에서 편찬한 충청남도 아산 신창현, 아산현, 온양군의 채색 방안 지도. 『비변사인 방안 지도』는 18세기 초·중엽 비변사에서 군사 목적으로 편찬한, 『호서지도』에 수록된 신창현, 아산현, 온양군의 채색 방안 지도이다. 18세기 초·중반 군사적 필요에 의해 비변사에서 각 도에 편찬령을 내리고, 감영은 소속 각 읍에 지도 제작을 명하여 각 읍이 지도를...
-
1819년(순조 19) 이호빈이 편찬한 충청남도 아산 지역 읍지. 『신정아주지』는 19세기 아산 지역의 경역(境域), 건물, 관원, 호구 등을 수록한 읍지이다. 『신정아주지』는 이호빈(李浩彬)이 편찬하였다. 영조 대에 편찬된 『여지도서』와 1742년(영조 18)에 작성된 『구아주지(舊牙州誌)』를 저본으로 하고 후대의 변화상을 반영하여 1819년 이호...
-
1758년도에서부터 1765년도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수록된 신창현 읍지. 『신창현지』는 18세기 아산 지역의 연혁, 지리, 인물 등을 기록한 책이다. 『신창현지』는 신창현에서 간행하였다. 1757년 홍양한(洪良漢)이 영조에게 전국 읍지의 편찬을 건의하여, 왕명에 따라 홍문관에서 각 도에 각 읍의 읍지를 올려보내도록 하여 간행하였다. 『신창현지』는...
-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일본어로 간행된 아산군 지역 관광 지리지. 『아산군지』[1929]은 1929년 당시 충청남도 아산군 지역 거주 일본인들로 구성된 아산군교육회에서 일본어로 간행한 아산군 지역 관광 지리지이다. 모로스미 고오이치[兩角恒一]가 주로 편집한 것으로 보이며 조선시대 간행된 전통적인 지리지와는 달리 주로 온천 등 관광명소...
-
1758년에서 1765년에 편찬한 『여지도서』에 수록된 아산현 읍지. 『아산현지』는 18세기 아산 지역의 연혁, 지리, 인물 등을 기록한 책이다. 『아산현지』는 아산현에서 간행하였다. 1757년 홍양한(洪良漢)이 영조에게 전국 읍지의 편찬을 건의하여, 왕명에 따라 홍문관에서 각 도에 각 읍 읍지를 올려보내도록 하여 간행하였다. 『아산현지』는 선장본이...
-
18세기 중후반에 필사본으로 편찬된 온양군의 읍지. 『온양군읍지』는 18세기 아산 지역의 연혁, 지리, 인물 등을 기록한 책이다. 『온양군읍지』[18세기]는 온양군에서 편찬하였다. 18세기 중후반 영조 대에 편찬되었다. 『온양군읍지』[18세기]는 선장본이며, 필사본이다. 『온양군읍지』[18세기]는...
-
1860년~1870년 이후에 필사본으로 간행된 온양군의 읍지. 『온양군읍지』는 19세기 아산 지역의 연혁, 지리, 인물 등을 기록한 책이다. 『온양군읍지』[19세기]는 온양군에서 간행하였다. 고종 즉위 이후 흥선대원군이 군현을 정비하면서 영조 대 편찬된 읍지에 이후 변동된 사실 등을 추가하여 1860년~1870년에 간행하였다....
-
19세기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 온양군 읍지. 『온주군지』는 19세기 아산 지역의 연혁, 지리, 인물 등을 기록한 책이다. 『온주군지』는 온양군에서 간행하였다. 19세기 이전에 간행되었던 기존 온양군읍지들을 전사(轉寫)하고 내용을 추가하여 편찬하였다. 『온주군지』는 선장본이고 필사본이다. 『온주군지』는 건치 연혁, 군명, 관직, 궁...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월선리의 장흥임씨 종중에 전해져 온 조선 후기 고문헌. 장흥임씨종중문서(長興任氏宗中文書)는 조선 후기 18세기 무렵부터 아산 선교, 즉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월선리 배다리에 세거해 온 장흥임씨 종중에 전해져 온 18~20세기 중반의 고문서와 전적류 839점을 말한다.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을 위해 2004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탁하였다...
-
1930년대 충청남도 공주의 유학자 이병연이 간행한 전국 129개 군에 대한 지리지. 『조선환여승람』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일제가 식민지 통치의 필요성에 의하여 행정구역을 통폐합하자, 공주 유학자인 이병연이 전통적 읍지를 대체할 목적으로 전국 13도 229개 군 가운데 129개 군을 조사하여 편찬한 백과사전적인 지리서이다. 충청남도 공주의 유학자였던 이병연...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창녕성씨 종중에 있는 조선 후기의 고문헌. 창녕성씨(昌寧成氏) 상곡공파(桑谷公派) 충청남도 아산시 입향조는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인 성준(成準)[1554~1619]이다. 성준은 청렴하였고 만년에는 아산시 인주면 대음리에 은거한 뒤 후손들은 인접한 인주면 문방리에서 세거해 왔다. 성준의 4남 중 장남이 성취성(成就聖)이다. 성준의 1...
-
18세기 영조 대부터 19세기 헌종 대에 걸쳐 충청도 각 읍의 읍지를 모아 펴낸 종합 읍지. 『충청도읍지』는 18~19세기 충청도 지역의 읍지를 총 51책으로 펴낸 것으로 온양군[38책], 아주현[47책], 신창현[48책]의 읍지가 수록된 충청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지(道誌)이다. 『충청도읍지』는 저자 미상으로 알 수 없다. 18세기 중반에 간행된 『여지도서(輿...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참판댁에 전해져 온 개화기 고문헌. 이정렬(李貞烈)[1868~1950]은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예안(禮安), 호는 퇴호(退湖)이다. 충청북도 보은 출신이며,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마을 이상규의 양아들이 되었다. 양가 쪽 할머니가 명성황후의 이모여서 명성황후의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고종 때 참판, 궁내부 특진관(宮內...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홍가신의 증시교지. 홍가신(洪可臣)[1541~1615]은 충청남도 아산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학자이다.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만전당(晩全堂)·간옹(艮翁),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행촌 민순(閔純)[1519~1591]에게 수학하였고 학문에 깊이가 있었다. 여러 관직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특히 임진...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홍가신 관련 고문서. 홍가신(洪可臣)[1541~1615]은 조선 후기 문신·학자로서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만전당(晩全堂)·간옹(艮翁),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났으며, 관직은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중이던 1596년에 홍주목사로 재임하며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여...